닫기
216.73.216.153
216.73.216.153
close menu
KCI 등재
지역방송 연구의 경향성에 대한 비판적 고찰 : 2000년부터 2010년 발표논문을 중심으로
A Meta-Analysis of Research on Local Broadcasting
원용진 ( Yong Jin Won ) , 황상현 ( Sang Hyun Hwang )
언론과학연구 11권 2호 285-332(48pages)
UCI I410-ECN-0102-2012-070-002437666

대타적이고 중첩적인 복잡성을 띠는 지역방송에 대한 논의는 2000년대 이후 양적 성장을 보여왔다. 양적 성장에 비해 질적 면에서의 논의수준은 만족스럽지 못하다. 이른바 지역방송을 둘러싼 정치성 회복이 요청된다. 정치적인 것의 회복을 위해서는 지역방송 논의에 맞는 인식론의 채용이 필요하다. 지역방송에 대한 새로운 논의를 위한 준비 즉 정치성의 회복, 인식론의 모색을 위해 지난 10여년 간 이뤄진 지역방송 논의를 분석해보았다. 지역방송 논의는 지역방송위기-극복을 위한 제도적, 정책적 제안이라는 내러티브를 지니고 있었다. 이 같은 내러티브는 국민국가 모델에 속하는 것으로 지역이 중앙에 더 많은 분배를 바라는 펀향성을 띠고 있었다. 국민국가모델을 떠받치는 구체적 논의방식을 살펴보기 위해 생산자-수용자, 제도적-비제도적 개선 축을 바탕으로 유형화를 시도했다. 대체로 연구들은 생산자 중심이었고, 제도 중심으로 이뤄지고 있었다. 유형화를 기반으로 살펴보면 생산자-제도형이 가장 많았고, 수용자-비제도적 개선이 가장 적었다. 지역사회를 살리면서 지역방송에 대한 인식을 제고시키는 장기적 지역방송 개선보다는 당장 중앙정부로부터 제도적 지원을 받아 지역방송을 살리겠다는 단기적 제안이 더 많았음을 보여주었다. 국민국가 모델에 편향되고, 단기적 편향성을 지닌 지역방송 개선 방안이 갖는 효과를 살펴보았다. 논의에서 수용자가 배제되고 있었던 점, 그리고 지역문화를 살리면서 지역방송을 살리겠다는 로컬리티에 대한 논의가 배제되고 있었다. 지역방송에 대한 설명에서 로컬리티 보다는 당위성을 가진 로컬리즘 개념을 더 선호하고 있는 지역방송 논의도 국민국가적 논의틀에서 비롯되었다고 볼 수 있다. 탈장소성을 기반으로 한 로컬리티 논의, 지역방송에 대한 논의를 새롭게 펼쳐가야 할 때다. 새로운 인식론을 형성해 그를 지역방송에 활용하고, 새로운 담론적 도약을 꾀해야 한다. 지역방송 연구 담론이 새롭지 않음으로 인해 지역방송이 위기를 당하고 있을 수도 있다는 인식적 전환도 필요하다.

The thesis aims at reviewing what research on local broadcasting have done and identifying their characteristics. Through the review, we expected to find out appropriate future research directions for the local institutes. More than 120 research pieces were collected and analyzed for this study. First of all, through the analysis, we could see a coherent narrative elements and sequence that most pieces shared. They had emphasized the local institutes are in crisis due to a variety of neglects, therefore, asked to retrieve the local ones to serve localism without difficulties. We call the shared structure, "a crisis-retrieval narrative." Along the structure most research had focused more on local market than on local residents and paid much more attention to broadcasting polity than local environments. The orientation toward broadcasters and policy had resulted in a tendency asking government and policy authority to distribute national resource appropriately for saving localism. They had unfolded their arguments within a nation-state scene and thus never moved toward absolutely independency scene. What they asked for better localism was equally distributed social resource. On the basis of the findings we proposed that more attentions should be paid towards locally cultural politics with which local residents are involved instead of normative localism discussion. The alternative direction can save and vitalize "the political" in discussion of local broadcasting and ultimately propose a dynamics of local institutes. Asking appropriate distribution of social resource by central government needs to be switched towards offering much more serious politics around locality.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