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습자의 시각적 능력 또는 시각화 활동에 대한 정도의 차이는 교과에 대한 학습태도뿐만 아니라 교과의 학업성적에도 영향을 미치는 강력한 변인 중의 하나로 여러 학자들은 제시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시각화 활동이 활발한 시기에 있는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시각화 경향성, 교과 학습태도, 교과 학업성취도가 어떠한 상관관계가 있으며, 요인들 간에 어떠한 구조적 인과관계가 있는지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이에 2개 초등학교 5학년 학생 247명 (남학생 133명, 여학생 114명)을 대상으로 시각화 경향성, 교과 학습태도, 교과 학업성취도에 대한 구조적 관계를 구조방정식을 통해 살펴보았으며, 보다 구체적인 요인들의 인과관계분석을 위해 효과분해 즉, 총 효과, 직접효과, 간접효과를 검증하였다. 연구결과, 시각화 경향성, 교과 학습태도, 그리고 교과 학업성취도의 긍정적인 상관관계가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각 요인들의 구조적 관계를 분석한 결과, 시각화 경향성은 교과 학습태도와 교과 학업성취도에 직·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교과 학습태도 역시 교과 학업성취도에 긍정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확인되었다. 이러한 요인들의 인과관계에 대한 구조모형의 전반적인 적합지수들을 종합적으로 고려했을 때, 초등학생의 시각화 경향성, 교과 학습태도, 교과 학업성취도의 구조적 관계는 적합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시각화 경향성, 교과 학습태도, 그리고 교과 학업성취도에 대한 논의와 교육적 시사점이 논의되었다.
Human`s visual activity or visualization capabilities are positively related with learning attitude or academic ability. However, there are lack of research findings supporting the proposition with concrete evidences about relationships among visualization tendency, learning attitude for the subject and academic ability. To address this respect, this research has conducted to identify the cause and effect among these variables. Furthermore, the research has tried to find out the specific effect among variables by estimating total effect, direct effect, and indirect effect. Two hundred forty-seven elementary school students who were fifth grade were participated in this study. To analysis relationships and the specific effect,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and bootstrapping analysis were employed. According to the results, there were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visualization tendency and learning attitude for the subject r=.55, p<.01, visualization tendency and academic ability r=.35, p<.01, learning attitude for the subject and academic ability r=.43, p<.01. According to the result of analysis the cause and effects, the learning attitude for the subject was predicted by visualization tendency =0.55, p<.01, the academic ability was predicted by visualization tendency =0.17, p<.05, the academic ability was predicted by learning attitude for the subject =0.34, p<.01. Also, indirect effect and total effect of visualization tendency through the academic ability was =0.19, p<.05 and =0.34, p<.01. The measurement model provided an acceptable fit to the data; (41, N=247)=101.23, p<.01, CFI=0.95, TLI=0.92, SRMR=0.07, RMSEA=0.07. Based on the research results, some recommendations were discussed for the effect of visualization tendency on several educational implication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