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에서는 청소년의 특성불안이 신체화 증상에 미치는 영향에서 신체감각 증폭 지각과 신체증상 귀인 양식 등의 인지적 왜곡의 매개효과를 검증하였다. 서울, 경기지역 고등학교의 학생 941명을 대상으로 특성-불안 척도, 한국판 아동 신체화 척도, 신체감각 증폭 척도, 증상 해석 질문지를 실시하였다. 수집한 자료는 SPSS 18.0을 사용하여 분석하였으며 불안과 신체화 증상의 관계에서 신체감각 증폭 지각, 신체증상 귀인양식의 매개효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Baron과 Kenny(1986)가 제안한 매개효과 검증 절차와 Sobel Test를 하였다. 특성불안과 신체화 증상의 관계에서 신체감각 증폭 지각과 신체증상 귀인 양식 등의 인지적 왜곡의 매개효과를 살펴본 결과 신체감각 증폭 지각과 신체증상의 귀인 양식 중 신체귀인, 정서귀인은 매개효과가 나타났다. 반면 중성귀인은 매개효과를 갖지 못하였다. 이 결과는 불안이 청소년의 신체화 증상에 영향을 주지만 중성귀인을 한다면 신체화 증상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는 것을 보여주었다. 이에 따라 청소년기의 특성불안과 신체화 증상의 관계에서 인지적 요인의 영향력을 확인하였으며, 특히 특성불안이 신체화 증상에 미치는 영향에서 신체감각 증폭지각과 신체귀인, 정서귀인이 일부 원인으로 작용함을 확인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mediating effects of cognitive distortions, such as somatosensory amplification and attribution styles of somatic symptoms, on the relationships between adolescents trait-anxiety and somatization symptom. The participants were 941 high school students in Seoul and Gyunggi area. The instruments used were as follows: Korean State-Trait Anxiety inventory (K-STAI), Children`s Somatization Inventory (CSI), Somatosensory Amplification Scale (SSAS), and Symptom Interpretation Questionnaire (SIQ). The data were analyzed using SPSS 18.0. The mediating effects of somatosensory amplification and the attribution styles of somatic symptoms on the relationships between trait anxiety and somatization symptoms were examined according to the steps developed by Baron & Kenny`s (1986). The Sobel test was used to analyze the effects. The main findings showed that cognitive distortions, in particular, somatosensory amplification and the attribution styles of somatic symptoms including somatic attribution and emotional attribution, had significant mediating effects on the relationships of interest. However, neutral attribution did not have any significant mediating effect on the relationshi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