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에서는 외현적 자기애와 내현적 자기애, 그리고 자기고양동기가 상호작용하여 우울에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두 유형의 자기애와 자기고양동기를 측정하고, 동시점 및 1년 후 시점에서 우울감을 측정하였다. 두 유형의 자기애와 자기고양동기를 높거나 낮은 두 수준으로 나누어 독립변인으로 설정하고, 독립변인과 동시점에서 측정된 우울감으로 1년 후 우울감을 조정하여 변량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에서 자신의 자존심을 높이려는 자기고양동기가 낮은 때보다 높을 때 사전 우울감으로 조정한 1년 후 우울감이 더 높았다. 또한 내현적 자기애가 높으면서 자기고양동기가 높으면, 내현적 자기애가 높으면서 자기고양동기가 낮을 때보다 1년 후 우울감이 더 높았다. 이에 더해서 내현적 자기애가 높으면서 외현적 자기애가 낮을 때보다 내현적 자기애가 높으면서 외현적 자기애가 높을 때 1년 후 우울감이 더 높았다. 본 연구에서는 삼원 상호작용도 유의하였는데, 내현적 자기애와 외현적 자기애가 모두 높을 때에는 자기고양동기가 낮을 때보다 자기고양동기가 높을 때, 1년 후 우울감이 더 높았다. 끝으로 본 연구에서 얻은 결과들과 시사점을 선행연구들과 관련지어서 논의하였다.
This study investigated the longitudinal effects of self-enhancement motives, implicit and explicit narcissism on depressive mood. For this purpose, two types of narcissism as well as self-enhancement motives were measured among university students. In addition, the level of depressive mood was measured twice in one year intervals. The two types of narcissism and self-enhancement motives were assumed to be independent variables and were divided into two levels using a median-split method and the dependent variable was depressive mood which was adjusted by the same measure of one year ago. Three-way analysis of covariance demonstrated that depression over one year was higher when the level of enhancement motive was high. Also, depression increased along with enhancement motive or explicit narcissism when implicit narcissism was high. However, these results should be qualified by significant three-way interaction which confirmed our hypothesis that depression would be higher in condition of high level of enhancement motive when both of implicit and explicit narcissism were high. Finally, the results and implications of this study discussed with the stream of previous research.