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216.73.216.9
216.73.216.9
close menu
사회인지 동영상을 활용한 사회성기술훈련이 정신분열병 환자의 대인관계기술에 미치는 효과
Effects of Social Skills Training Using the Videos of Social Cognitions for Schizophrenics
구효진 ( Hyo Jin Koo ) , 이봉건 ( Bong Keon Lee )
UCI I410-ECN-0102-2012-360-002283549
* 발행 기관의 요청으로 이용이 불가한 자료입니다.

본 연구에서는 입원한 정신분열병 환자를 대상으로 사회인지 동영상을 활용하여 사회적 상황의 파악 능력을 높일 목적으로 구성된 사회성기술훈련을 실시하고 그 효과를 알아보았다. 참여자는 입원환자 총 23명으로서, 이들을 사회인지 동영상을 활용한 사회성기술훈련 집단에 10명, 통제조건인 행동적 사회성기술훈련 집단에 13명을 배정하였다. 모든 참여자들은 일주일에 1회씩 총 10회기의 훈련에 참가하였다. 사회인지 동영상을 활용한 사회성기술훈련 집단은 행동적 사회성기술훈련에 사회인지 훈련을 첨가한 것이다. 훈련효과를 검증하기 위하여 사전 검사시기와 사후검사시기에 각각 K-WAIS 차례맞추기 소검사와 대인관계변화척도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사회인지 동영상을 활용한 집단이 행동적 사회성기술훈련 집단에 비해 사회 상황에서의 예측력을 평가하는 K-WAIS 차례맞추기 소검사 점수가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아졌다. 대인관계 변화척도의 총점에서는 집단 간에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지만, 대인관계 변화척도의 하위척도 중 의사소통과 민감성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는 사회인지 동영상을 활용한 사회성기술훈련이 정신분열병 환자의 사회적 예측력을 높이는데 도움이 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 이는 만성 정신분열병 환자의 재활을 위한 프로그램에 포함될 필요가 큼을 시사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whether social skills training using videos of social cognitions for schizophrenic in-patients would be more effective on social functioning and relationships than traditional social skills training group therapy. The social skills training group using videos of social cognitions consisted of ten participants, and the traditional behavioral social skills training group had 13. All subjects participated in a total of ten once-weekly sessions for ten weeks. The social skills training using videos of social cognitions program was a combination of traditional behavioral social skills training and training for enhancing social cognitions. The subjects` behaviors were assessed during the pre- and post-programs in order to examine the effects of the social cognitions and the development of social skills. The scales used in this study included the Picture Arrangement of Korean-Wechsler Adult Intelligence Scale and the Relationship Change Scale(RC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schizophrenics who had completed the program which used videos of social cognitions significantly improved with respect to Picture Arrangement of Korean-Wechsler Adult Intelligence Scale. Second, they also improved with respect to total scores on the RCS and showed more improvement in the subscales of the RCS including satisfaction, communication, sensibility, openness, and consideration. Further, this group significantly improved with respect to performance in communication and sensibility on the RCS. Finally, the clinical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this study and direction of future research have been discussed.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