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복지개혁이후 어떻게 저소득층 가정이 그들의 보육요구에 대응하고 있는 가를 질적 접근을 통하여 연구하였다. 본 연구는 연구 초기 생계지원금을 받던 22명의 저소득층 가정의 어머니들을 6개월마다 가정방문하여 인터뷰를 한 장기적 연구 자료를 토대로 본 연구는 이전 연구에서 잘 다루어지지 않았던 빈곤아동들의 삶을 생애사적 접근으로 조명하였다. 일반적인 보육사용의 흐름, 저소득층 아동이 갖게 되는 보육과 관련된 특별한 조건들에 관한 심층적인 분석과 함께 저소득층 장애아동의 보육과 관련된 요인들도 심층적으로 분석하여 제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공적지원과 더불어 사회적 지원망을 통한 비용부담이 적고 양질의 보육서비스를 제시하는 접근방법이 저소득층 가정의 자생력을 키우는 하나의 좋은 방안이 될 수 있음을 보여주었다.
This study used qualitative data to examine how low-income families confront the child care needs of their children in the midst of changes in public policy. The data were drawn from in-home interviews conducted every 6 months with 22 mothers who were welfare-dependent at the start of the research. This research depicted several life stories of the circumstances of poor children that have not had much previous attention in the literature: the general flows and the special conditions of child care among the low-income families with or without a disabled child were reported. The results in this study suggested that enabling families, through both social support and public funding, find affordable and quality child care would be one pathway to foster self-sufficiency in these famili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