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격장애 문제는 아동기 때부터 전조 증상이 나타나 성인기로 이어지는 연속성이 있다는 주장이 적지 않게 있다. 본 연구는 청소년기의 성격병리가 성인기의 성격병리와 유사한 형태로 존재하는지, 주로 성인들에게 적용되는 DSM-IV 성격장애 진단을 청소년기에도 적용할 수 있는지 알아보기 위한 탐색적인 성격의 연구이다. 이를 위해 먼저, 성인들을 대상으로 개발된 성격장애 진단검사의 문항내용을 청소년들이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일부 조정하여 청소년판 성격장애 진단검사를 구성하였다. 이 검사를 중학교 2학년 학생들에게(N=290) 실시하여 성인을 대상으로 얻어진 선행 연구결과와 비교함으로써 청소년기 성격병리와 성인기 성격병리의 유사성을 검토하였다. 자료 분석 결과 성격장애 진단검사 청소년용은 성인용과 비슷한 정도의 내적일관성이 있었으며, 개별 성격장애를 측정하는 10개 소척도들 간 상관 패턴도 성인을 대상으로 한 연구결과와 매우 유사하였다. 또 소척도 점수간 상관을 분석한 결과 같은 군집에 속하는 성격장애 소척도들 간의 상관이 높아 DSM-IV 진단 분류를 잘 반영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한편 청소년기 성격장애의 구인타당도 검증을 위해 기질-성격검사(JTCI)를 함께 실시하여 선행 연구들에서 밝혀져 있는 기질과 성격장애 간의 관계를 확인하였다. 자료 분석 결과, 네 가지 기질 차원들은 성인을 대상으로 한 선행연구에서 시사된 것처럼 개별 성격장애의 특성을 구별하는데 유용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연구결과는 청소년기의 성격병리가 DSM-IV에서 제시한 성인기 성격장애와 유사한 형태로 존재할 가능성을 시사한다. 또한, 성인기 성격장애와 기질간의 관계가 청소년기 성격병리에서도 유사하게 관찰된 본 연구의 결과는 청소년기 성격장애 구인의 타당도를 보여주는 한 증거로 해석할 수 있겠다. 끝으로 본 연구의 의의와 후속 연구 방향에 대해 논의하였다.
Many studies have suggested that the preceding signs of personality disorders in adolescent continue and develop into adulthood. This is an exploratory study to find out whether the pathological personality of adolescent exists in a similar forms to adult and can it be applicable to adolescent personality disorder diagnosis of DSM-Ⅳ which only usable to adult by now. First, Adolescent version(PDDS-A) of the Personality Disorder Diagnostic Scale(Seo & Hwang, 2006) composed of 112 items was constructed in this study. PDDS-A and the Temperament and Character Inventory (JTCI) were administered to 290 junior high school students. Then the similarities between adolescents` personality pathology and that of adult were examined. The results of examining validity and reliability suggested PDDS-A has similar levels of internal consistencies as PDDS. Two versions of the scale (PDDS for adult and PDDS-A for adolescent) showed similar correlation patterns each other among 10 subscales for diagnosing PDs. Furthermore, PDDS-A well reflected the diagnostic classification of PDs in the DSM-Ⅳ, which was supported by the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s within the PD clusters. Correlation pattern of 10 subscales in PDDS-A and 4 temperaments in JTCI were similar to that of adult(Park, Hwang, & Lee, 2008). This result provides evidence there is a possibility that adolescents` personality pathology can be exist in a similar way with adults` personality disorder represented in DSM-Ⅳ. Implications of the study and suggestions for future research are discuss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