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90년대 초 지방자치가 재개된 이래, 지방선거에서의 정당공천제는 정치권, 학계, 시민단체, 그리고 일반 유권자들 사이에서 많은 논란과 연구의 대상이었다. 논쟁의 초점은 정당공천의 범위를 기초자치단체장과 의원에까지 확대해야 하는가라는 문제이다. 2010. 6·2 지방선거를 전후해서 다시 이 문제는 정치권과 학계의 관심사로 부각되었다. 지방선거에서의 정당공천제는 향후 지방자치의 진로에도 중요한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사안이다. 따라서 조속한 해결을 요한다. 본 연구는 그 중 특히 기초단체장에 대한 정당공천제에 초점을 맞춘다. 이 문제에 대한 찬반론, 정당공천제와 관련 있는 이해당사자들의 입장, 여러 조사기관에서 실시한 여러 차례의 여론조사 결과들을 정리, 소개한다. 본 연구자의 기본 입장은 지방선거에서 정당공천제의 폐해를 없애고 지역주의 현상을 개선하기 위해서는 기초의원은 물론 기초단체장까지 정당공천제를 폐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는 것이다. 그러나 그것이 현실적으로 어려운 여건임을 감안하여, 현행정당공천제에 대한 몇 가지 개선책을 제시한다. 개선책은 아래와 같다. 첫째, 정당공천과정이 합리적으로 운영하도록 제도적으로 법제화한다. 지방선거 공천과정에서 제기될 수 있는 비합리성을 차단할 수 있는 제도를 정립하고, 그 시행을 엄격히 감독한다. 공천과정에 문제가 발생하면 그 책임을 본인은 물론 소속 정당에 묻고, ‘정당평가제’에 입각하여, 정당에 대한 국고보조금의 배분에 차등을 둔다. 둘째, 헌법정신을 살리고, 지방자치의 본래 취지에 맞게 지역주민에게 기초단체장에 대한 공천권을 이양하면서 기존에 실시되었던 ‘국민경선제’ 방법에 정당의 영향을 줄이고 주민대표의 영향을 늘리는 가칭, ‘주민공천경선제’에 여론조사를 추가하여 실시한다. 요컨대, 중앙 정치권의 이해관계에 의해 지방자치가 왜곡하는 현상을 줄이고, 지방자치가 말 그대로 자치가 될 수 있도록 만들기 위한 연구는 앞으로도 계속되어야 한다.
Since the local self-government resumed in the early 1990s, party nomination on candidates for local elections has been controversial among political leaders, scholars, NGOs, and voters. The focus of the debate is whether and to what extent political parties should be allowed to nominate their candidates. Around the time of the previous local election on June 2, 2010, the issue emerged again. The issue has potential to have effect on the future direction of the local self-government. Therefore, it need to be solved. This study specifically focuses on the party nomination for candidates of the head of local government. It summarizes and introduces the pros and cons of it, positions of concerned interests, and a series of survey results done by various survey agencies. The basic view of the researcher is to cancel the current party nomination system for candidates of the local government head. However, considering the practical impossibility of changing the Local Government Election Law, this paper suggests some remedies. First, to be operated rationally, the process of party nomination should be institutionalized and made into law. The institution should prevent occurrence of irrationality of the process, and the nominating procedure should be strictly supervised. If a specific process is found to have violated the law, not only the candidate, but the party should be made to assume responsibility. Based on the “Party Evaluation System,” the party will be punished by having disadvantages in the allocation of government subsidies for parties. Second, nomination rights for the local government head should be given to local citizens. Specifically, the “national nomination system” can be changed into the new one in which the effect of citizen representatives becomes larger. Survey results for competing candidates for party nomination should also be included in the final choosing of the candidate. In short, it seems necessary to keep studying on the issue, to lessen the influence of politicians of the central government on local governments and to make the local self-government really loc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