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216.73.216.191
216.73.216.191
close menu
KCI 등재
해방 후 좌우합작의 실패원인 분석
A Study on the Failure Factors of the Left-Right Coalition after Liberation in Korea
황의서 ( Eui Seo Hwang )
UCI I410-ECN-0102-2012-980-002265538

좌우합작운동(1946.5∼1947.12)은 해방정국에서 통일 민족국가수립이라는 당시 한민족 최대의 과제를 실천하기 위해 추진되었다. 1946년 5월을 전후하여 시작된 좌우합작운동은 내적인 필요, 즉 국제정세에 능동적으로 대처하여 좌우합작 통일정부를 수립하고자했던 좌우민족주의세력의 융합으로 인해 추진된 면과, 외적인 조건, 즉 제1차 미소공위 결렬 이후 미국의 대한정책이 중도파에 의한 임정수립이라는 정책으로 전환됨에 따라 좌우합작운동을 적극 후원한 결과 김규식·여운형을 중심으로 추진되었다. 1946년 10월 발표된 합작 7원칙은 당시 통일 민족국가수립이라는 민중들의 열망과도 합치하고 있었다. 그러나 한반도 점령 당사국인 미·소 양국의 상충된 국가이익에 따른 냉전논리와 미군정 당국의 정책적 미숙, 그리고 국내정치세력의 역량부족에 의해 좌우합작은 좌절되고, 한반도문제가 유엔으로 이관되어 결과적으로 남북 분단국가 탄생이라는 결과에 이르고 만다. 해방된 한반도에서 통일 민주정부를 수립하고자 했던 좌우합작운동은 왜 실패했을까. 좌우합작 실패의 핵심적 원인은 국내 정치상황의 구조적 한계와 해방정국에서 정치지도자들의 민족지도자로서의 자질문제, 그리고 미국의 표류했던 대한정책을 들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해방 후 좌우합작의 실패원인을 대내외 요인으로 나누어 분석하고, 제2차 대전 종전 후 좌우합작 대연정에 성공한 오스트리아사례와 국제세력의 대응 면, 그리고 역사적 조건, 구조적 요인, 행위자 요인으로 나누어 비교분석한다.

After liberation of the Korean peninsula, August 15, 1945, as the greatest matter of the Korean people at that time was the building of the unified nation states, that matters required the international cooperation, reopening the U.S.-USSR Joint Commission. And it required the wide gathering of the inter-nation political leaders and groups so that the U.S.-USSR Joint Commission reopened and the building of the unified nation state in Korean peninsula. This mission was operated by the left-right coalition movement groups. The purpose of the left-right coalition movement was the building of the unified nation state in Korea, through the consensus of the internal and international political leaders and groups. The purpose of U.S. supporting on the coalition movement was different with, that was one(a plan for shaping the neutral political group against USSR) of Korean policy at that time. The left-right coalition movement ended in failure as on account of causes. In this paper, I analysed the failure factors of the left-right coalition in Korea, and the success factors of Austrian case. And I am comparatively analysing the two cases according to international politics, and three factors(historical situation, structural factor, and actor).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