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216.73.216.153
216.73.216.153
close menu
KCI 등재
Collagenase-induced Arthritis Rat Model에서 Thermal Hyperalgesia에 대한 전침(電鍼)의 진통효과(鎭痛效果) 및 기전연구: Adrenergic Mechanism에 대(對)한 연구(硏究)
The Analgesic Effect and the Mechanism of Electroacupuncture on Thermal Hyperalgesia in the Rat Model of Collagenase-induced Arthritis: Mediation by Adrenergic ReceptorsCollagenase-induced Arthritis Rat Model에서 Thermal Hyperalgesia에 대한 전침(電鍼)의 진통효과(鎭痛效果) 및 기전연구: Adrenergic Mechanism에 대(對)한 연구(硏究)
서병관 ( Byung Kwan Seo ) , 박동석 ( Dong Suk Park ) , 백용현 ( Yong Hyeon Baek )
UCI I410-ECN-0102-2012-620-002202112
* 발행 기관의 요청으로 이용이 불가한 자료입니다.

목적: Collagenase-induced osteoarthritis(OA) 동물 모델에서 전침의 adrenergic mechanism을 연구하고자 한다. 방법: Collagenase-induced arthritis(CIA)를 유발하기 위하여 5주령의 male Sprague-Dawley rat의 뒷다리 좌측 무릎 관절에 0.05ml의 4mg/ml collagenase solution을 intra-articular 주입하고, 다시 4일 후에 같은 부위에 같은 농도의 collagenase solution을 intra-articular boosting injection 시행한 뒤, gross, histopathological features 및 biomarker activity 변화를 관찰하였다. 예비실험을 통하여 CIA rat model에서 진통효과를 발휘하는 것으로 확인한, 足三里 (ST36)에 대한 저빈도 train pulse EA stimulation (2Hz, 0.07mA, 0.3ms)을 침치료 방법으로 적용하였다. 전침의 진통기전을 확인하기 위하여, α1-adrenergic antagonist (prazosin, 1 mg/kg, i.p.), α2-adrenergic receptor antagonist (yohimbine, 2mg/kg, i.p.), α1-adrenergic receptor agonist(phenylephrine, 2mg/kg, i.p.), α2-adrenergic receptor agonist(clonidine, 40μg/kg, i.p.)을 전침시행 20분 전에 복강 내로 전처치하였다. Tail flick unit(Ugo Basile Model 7360)을 이용하여 열자극에 대한 통증역치를 측정하였다. 결과: 퇴행성관절염 징후(gross, histopathological features)와 통증역치의 변화가 최대값을 나타내는 CIA 유발 4주차에 저빈도 전침자극(train pulse, 2Hz, 0.07mA, 0.3ms)을 족삼리(ST36)에 적용하였으며, 족삼리 전침의 진통효과는 α2-adrenergic receptor antagonist(yohimbine, 2mg/kg, i.p.)전처치에 의해 억제되었으나, α1-adrenergic antagonist(prazosin, 1 mg/kg, i.p.)전처치에는 억제되지 않았다. 또 α2-adrenergic receptor agonist(clonidine, 40μg/kg, i.p.)의 전처치를 통하여 유의한 synergistic analgesic effect가 관찰되었으나, α1-adrenergic receptor agonist(phenylephrine, 2mg/kg, i.p.)의 전처치는 전침의 진통효과에 synergistic effect를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저빈도 족삼리 전침은 CIA로 유발된 염증성 통증에 대하여 진통효과를 발휘하며, 이는 α2-adrenergic receptor에 의하여 매개되는 것으로 보이며 α1-adrenergic receptor는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사료된다.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