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푸리에의 저작에 나타난 정념의 공리 체계와 그 역할을 살피려는 목적을 갖고 있다. 푸리에에 의하면 정념의 비약적 발전과 자유로운 발휘를 통해 인간은 행복을 얻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인간들 사이의 일치를 통해 사회적 조화를 가능하게 만들 수 있다는 것이다. 정념에 의한 인력은 인간 활동의 주요한 원동력이기 때문이다. 푸리에는 사회적 행복은 정념들의 약화가 아닌 증진을 통해서, 산업적인력의 근원인 쾌락의 증대를 통해서 도래될 수 있음을 강조한다. 푸리에가 설정한 궁극적 이상인 조화에서 정념들은 개인적인 것과 동시에 모든 사회적인 것과 관련을 맺게 되며, 그 정념들이 발휘되는 집단의 조직을 통하여 가장 중요한 의미를 갖게 된다. 정념들은 한편으로는 인간들 사이의 관계를 증대시키고, 다른 한편으로는 집단들 내에서만 온전히 작용하기 때문이다. 이처럼 푸리에는 정념들의 다양성, 혼합 및 교차를 통해 조화를 지향하는 경향의 증거를 제시하고 있다. 결국 푸리에의 정념들은 확실히 조화 혹은 사회성을 추구하고 있다고 할 수 있다.
Cet article a pour but de clarifier l`axiomatique et le role des passions a partir des oeuvres de Charles Fourier. Selon Charles Fourier, non seulement le bonheur individuel consiste dans l`essor continu des passions mais l`accord des hommes entre eux, l`harmonie sociale supposent leur plus grand developpement, puisque l`attraction passionnee constitue le principe moteur de l`activite humaine, la contrainte et la repression s`opposent aux vues de Dieu. Fourier souligne que l`avenement du bonheur social ne suppose pas l`extenuation mais a l`inverse l`exaltation des passions et la multiplication des plaisirs principes de l`attraction industrielle. En Harmonie les passions mettent en jeu tout a la fois l`individu et le tout social, elles parviennent a leur plus haute significcation a travers le tissu collectif ou elles se developpent. D`une part les passions impliquent la multiplication des liaisons entre individus, d`autre part elles ne s`exercent pleinement qu`au sein des groupes. Fourier voit dans la variete, le metissage, le croisement des passions la marque de la tendance a l`harmonie. En cela, les passions de Fourier s`adonnent infailliblement a l`harmonie ou la socialit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