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에서는 서울시 A 자원봉사센터에 등록된 자원봉사자 207명을 대상으로 지역사회에서 자원봉사활동과 개인 참여자의 사회적 자본형성의 관계를 실증적으로 분석하였다. 연구방법은 응답자의 일반적인 특성, 자원봉사활동 특성, 사회적 자본측정 등 3부분으로 구성된, 자기보고 형식의 설문지로 조사를 실시하였다. 먼저 자원봉사자의 일반적인 특성에 따른 자원봉사활동 참여정도와 활동 특성의 차이를 분석한 결과, 여성이 남성보다, 연령이 높을수록, 미혼보다는 기혼이, 대졸과 대학원 이상의 학력보다 고졸학력의 봉사자가 자원봉사활동에 참여하는 정도와 인식수준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자원봉사자의 개인적 특성 및 자원봉사활동의 특성과 자원봉사자의 사회적 자본 형성의 관련성을 분석한 결과, 하위 종속변인인 신뢰는 응답자 자신의 계층에 관한 수준인식, 자원봉사에 대한 관심, 태도와 유의미한 관련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음으로, 네트워크 변인은 직업유무와 태도와 유의미한 관련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사회적 규범형성의 경우, 자원봉사에 대 한 관심과 태도와 유의미한 관련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aimed at analyzing the effects of volunteers` community service activities on their formation and accumulation of social capital, focusing on 207 volunteers in A community service center in Seoul metropolitan area. Main research method was self-reporting survey, consisting of the respondents` demographic information, their volunteer activities, and social capital measurement. Main findings of the study were as follow: First, volunteers who were women, old ageing, married, and having high school degree earners participated more actively in the frequencies and types of volunteer activities than others. Also, they were engaged in volunteering with self-motivation and service-centered mind. In term of the formation of social capital, the interests and positive attitude toward the volunteering activities have highly impacted the volunteers` trust, networking, and social norms. It was expected that the active engagement in volunteering activities had affected the formation and accumulation of social capital in community-based societ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