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글의 목적은 초야에 숨어있는 현자를 등용한다는 遺逸薦擧의 운영과 그 변화를 통해 조선시대 지배계층의 성격을 이해해 보는데 있다. 천거는 그 개인의 도덕, 학식, 덕망 등이 관료가 되기에 합당하다는 보다 많은 사람의 평가를 요하는 일이었다. 이 점에서 천거제도를 운영한 사람이 과연 어떤 사람들을 치자로서의 자격이 있다고 판단하여 천거하였는지, 피천자는 어떠한 사람이었는지 등을 분석하는 일은 조선시대 지배계층의 성격을 한층 드러내는 작업이라는 기대이다. 천거는 적절한 시험과 국왕의 재가 등이 있어야 하지만 기본적으로 이미 관직을 가진 사람이 관직에 오를 사람을 추천하는 방식이었다. 조선 초기에 피천자의 자격으로 제시된 조건은 인품, 학식, 행정적 능력, 군사적 능력 등 이었다. 유일을 천거하라는 교령이 자주 내려졌지만, 그 조건에 관직을 가진 경력이 있어야 한다든지, 선비(士)이어야 한다든지 등을 못 박지는 않았다. 이 점에서 治者로서의 자격을 갖추었다고 판단된 피천자들을 법제적으로 구분된 별도의 신분에서 선택하는 상황은 아니었다. 15세기 후반 성종 대에 이르면 유일천거에 변화가 일기 시작하였다. 유일천거가 숨어있어 세상에 드러나지 않은 ‘어진 이’를 기용하자는 데에서 한 걸음 좁혀 일정한 문지와 경력을 갖추고 탁용되기를 기다리는 ‘선비’를 지목하는 경향이 두드러졌다. 성종 대에 이르러 사림의 등장과 더불어 국왕과 관료로부터 백성에 이르기까지 모든 사람들이 유교적 이념을 실천하는 국가를 이루자는 이상은 더욱 강조되었다. 현실적으로 어려운 일일지라도 국왕과 관료, 그리고 사족들은 유교이념을 앞서 실천하며 모든 사람을 몰아 善으로 나가게 해야 하였다. 그것이 치자의 소임이며 명분이었다. 유교적 이념에 충실한 사람이 중앙에만 있으리란 법은 없었다. 이 때문에 초야에 있는 유교이념의 실천자를 치자로 발탁하는 일은 매우 중요하였다. 그런데 그러한 사람으로 지목되어 온 ‘유일’ 은 이제 ‘선비’(士)로 지칭되었다. 유일을 탁용해야 하는 까닭도 산림의 선비가 벼슬길로 나아오는 풍토를 진작시키기 위해서였다. 사회의 전체 구조 안에서 치자와 잠재적 치자군이 이른바 ‘선비’로 구분되는 계층의식이 강화되었음 볼 수 있다. 즉 성종 대에 이르러 인품, 학식, 도덕 등을 기준으로 治者와 被治者가 구분되는 의식이 두드러졌고, ‘사’에게는 교화의 책임자로 자임하는 계층의식이 확산되어갔다. 도덕성이 치자의 자격임을 보다 강하게 강조하는 사림의 등장과 더불어 유일천거가 더욱 활성화되는 것은 당연한 결과였다. 중앙에 진출한 관료나 향촌의 선비들이 도덕정치를 지향하면서 치자로서 자신들을 구분짓고 사족으로서의 정체성을 강하게 향유하면 할수록 유일천거는 더욱 확산되어 갈 수 밖에 없었다.
The goal of this study is to research the recommendation system(薦擧制度) as the function of the course into official circle for the early Choson and especially to understand the status system of the Choson Dynasty, through the analysis of the nominee`s status. Under such a purpose, I have studied an enforcement of the recommendation system of the ``Hermits``(遺逸) in the early Choson and its significance from this writing. For this reason, I took note of the nominee`s status. Ranging from the Dynasty`s founding to the age of King Songjong in 15th century, I have studied the ruling class of the Choson by analyzing the nominee`s status. In general, ``Hermits`` is a person who has sufficient qualifications and ability as a administration official with good character and scholarship, but they are not come out to official post, only staying in the wilderness. In some case, there were a person who did not have any intention to be a official among them. But usually they were reluctant to provide their own doing even if there was an intention to become an official. Therefore, the king and incumbent officials were obligated to search for a ``Hermits`` by asking all around and to appoint them. The way which selects and appoints them was the recommendation system. The king of the Choson Dynasty ordered to recommend the hermit in frequency. The necessary qualification for recommendee was a personality, intellectual capacity, executive ability and martial arts as well as a non-incumbent official. Actually, in the early Choson Dynasty if we consider the officials career of the ``Hermits`` who is recommended, they had got no particular career to speak of. However, the age of King Songjong in the late 15th century marked the beginning of subtle change in the recommendation system. It happened that a man who have been appointed to the official post in the past have been reinstated or promoted by recommendation. Like these tendency came to be stronger as time goes by. After the age of King Songjong, to express the nominee with the commoner had gradually disappeared because of nominee`s list was gradually filled with former official. The most of title which calls them was mostly ``literati-scholars``. Further more, they did not make the recommend for the ``Hermits`` but rather began to recommend the ``former officials`` or a ``Saengwon·Jinsa``(a person who has only passed the first examination for official : 生員·進士), could not trace the ``Hermits`` in their own capacities by way of excuse. To be an official by recommendation, that is to say a person who can appoint as a official was limited only ``literati-scholars(士)`` not all of ``Yangin``(良人). It was becoming increasingly clear that in the recommendation system, there was any prerequisite qualifications necessary to be a nominee. Since the appearance of the ``Sajok``(士族), ``Yangin`` classes was divided into the general public(良人) and the ``Sajok`` and the person who will be nominated with the official post came to be provided with ``scholar``. And ``literati-scholars`` possessed both personality and learning and they were a man of authority and legitimacy as a ruler. Therefore they behaved as a director of the edification in the region. The more ``Sajok`` of the Choson has aimed the moralism policy, recommendation of the ``Hermits`` have been forced into a greater emphasis on morality because it is emphasizing that the ruler is expected to have a higher sense of ethics than others. Stratum identification began to form down based on morality as a ruler in the ``Sajok``. Such an tendency have gradually been changed the ``Sajok`` into a kind of social statu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