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216.73.216.214
216.73.216.214
close menu
중국의 돼지문화
정연학
중앙민속학 13권 7-39(33pages)
UCI I410-ECN-0102-2012-380-001818451

돼지가 인류에 등장한 것은 4천 만 년 전이며. 중국에서는 서안(西安) 반파(半坡) 유적지와 절강성 하모도(河姆渡) 유적지를 비롯한 전국지역에서 발굴된 돼지뼈 등을 통해 야생돼지가 가축화된 것을 6천년에서 1만 년 사이로 보고 있다. 시대별 돼지 관련 유물들을 보면 뼈를 비롯해 토기ㆍ동(銅)ㆍ돌ㆍ토기ㆍ나무ㆍ옥 등으로 만든 돼지나 돼지우리가 주류를 이룬다. 중국의 돼지에 대한 연구는 출토 유물을 중심으로 한 고고학적 논문과 돼지의 역사를 다룬 논문에 치중한 경향이 강하다 소 나 말 등에 대한 단행본이 발간된 것에 비하면 돼지에 관한 연구는 상대적으로 빈약한 편이다, 따라서 이 글은 돼지의 역사적인 측면과 민속학적 측면에서 살펴보고자한다. 돼지는 12띠 동물 가운데 마지막 동물이다, 12띠 동물의 체계는 중국. 일본, 한국 등이 같으며. 12띠 동물의 기원은 인도에서 시작되었다고 한다. 갑골문 (甲骨文, 卜辭) 중에 돼지를 식용 또는 제사 제물로 쓰였음을 상당히 보인다. 또한 청동으로 만든 수돼지 존(尊)을 제기(祭器)로 사용한 것도 돼지가 제사 제물로 쓰였음을 나타내는 것이다. 돼지 중에는 일명 ‘똥돼지’ 라고 불리어지는 것이 있다.‘똥돼지’는 글자그대로 똥[糞]을 먹여 키우는 돼지이다. 이런 똥돼지는 우리뿐만 아니라 중국. 일본의 오키나와. 필리핀 등지에서도 보이는 것을 보면 아시아의 보편적인 문화현상이라고 할 수 있으며 하나의 돼지로서 끝나는 것이 아니라 인간의 생명을 유지하는 하나의 고리로서 존재하는 것이다. 우리가 희생 (犧牲)으로 많이 사용하는 것으로는 돼지와 닭. 소를 뽑을 수 있다. 닭을 희생으로 삼는 경우는 개인이 중심이 된 신앙체계에서 많이 볼 수 있는 반면. 돼지를 제물로 하는 경우는 마을제사인 경우이다, 마을제사에는 많은 사람들이 모여들고 제물을 골고루 나누어주기 때문이다.

This paper is about both historic aspects and folkloristics aspects of the pigs. The study of the pigs in China has been focused archaeological theses on excavated articles and theses on history of the pigs, and most of theses tend to scanty. Pigs are last one among the year of twelve animals and their origin is from India. The parts of the inscriptions on bones and tortoise carapaces describe that pigs were used as edibility or sacrificial rites`s offerings. There are pigs, chickens and cow that are used a lot as a sacrifice. If pigs are offerings in a sacrificial rite, it is a village``s sacrifice. Since in the village`s sacrifice many peoples flock and the offerings are divided evenly among all.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