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의 첫 번째 목적은 불완전고용에 영향을 미치는 선행요인에 대해 살펴보는 것이고, 두 번째 목적은 불완전고용이 조직 적응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는 것이다. 연구는 종단으로 설계되어 2회의 설문조사를 통해 자료가 수집되었으며, 1차 조사 시점에서 미취업 상태에 있었으나 2차 조사 시점에서는 재취업한 153명으로부터 자료를 얻었다. 불완전고용의 측정치는 임금, 사회적 지위, 기술활용도 및 고용형태변화의 차원에서 여섯 개의 측정치-‘임금변화비(현재 임금/실직 전 임금)``, ``지위변화비(현재 직업지위/실직 전 직업지위)``, ``학력격차비(요구학력/실제학력)``, ``정규직에서 비정규직으로 고용형태가 변화했는지의 여부’ 및 자기보고방식의 지각된 과잉자격 척도의 ``성장가능성부재’와 ``자격불일치’ 요인-로 측정되었다. 먼저 불완전고용에 영향을 미치는 선행요인의 효과를 살펴보고자, 선행요인으로 인구통계변인(성별, 연령, 학력 및 실업기간), 상황변인(경제적 곤란도와 부양가족 수), 개인특성변인(구직효능감, 우울?불안, 잠재적 기능)을 설정하였다. 주요 결과로는 연령이 높을수록 임금과 지위는 하향 변화하였고, 경제적 곤란도가 높을수록 자신의 학력보다 낮은 학력이 요구되는 직업에 재취업하였으며, 부양가족 수가 많을수록 직업지위가 하향 변화하였다. 개인특성변인 중 실업기간 동안 취업의 잠재적 기능을 유지할수록, 성장가능성부재로 측정된 불완전고용의 가능성을 낮추었고, 구직효능감이 높은 경우에도 마찬가지 결과를 보였다. 실업기간 동안 우울?불안 수준이 높을수록 자신의 학력보다 낮은 학력이 요구되는 직업에 재취업할 가능성이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음으로 불완전고용이 직무-조직 적합도 지각, 조직몰입, 직무만족 및 이직의도로 측정된 조직 적응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본 결과 학력격차비 측면에서 불완전고용의 정도가 높을수록 개인-조직 적합도, 정서몰입 및 직무만족을 낮게 지각하였다. 또한 정규직에서 비정규직으로 변화할수록 정서몰입과 직무만족을 낮게 지각하였다. 그리고 성장가능성부재와 자격불일치는 조직 적응 전반에 걸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In this study, multilateral conceptualizations of underemployment were measured in terms of wages, social status, skill utilization and permanence of the job, and then the effects of antecedents on underemployment and the effects of underemployment on organizational adaptation were examined. Data obtained by a longitudinally designed survey at intervals of 18 months with the reemployed(N = 153) after job loss were used. The underemployment measures include 1) the ratio of wage change 2) the ratio of status change 3) the ratio of education 4) the occurrence of change from the permanent job to temporary job, 5) overqualification - growth opportunity, 6) overqualification - mismatch. The first four measures are social-economic and objective measures and the last two measures are psychological and self-reported ones. Demographic variables(sex, age, education level, and period of unemployed), circumstantial variables(economic hardship, number of dependents), and psychological variables(job-seeking self-efficacy, depression/anxiety, latent function) are included in antecedents. In the effects of antecedents on underemployment, age increases the level of underemployment in the aspects of wage and job status. Economic hardship increases the possibility of underemployment in the aspects of education and number of dependents increases the possibility of underemployment in the aspects of job status. Job seeking self-efficacy decreases the possibility of underemployment in the overqualification - no growth. Retention of latent function during the period of unemployment lowers the possibility of underemployment in the overqualification - no growth. The level of depression and anxiety during the period of unemployment raises the possibility of underemployment in terms of education and in the overqualification - mismatch. In the effects of underemployment on organizational adaptation, the higher the level of underemployment in the aspect of education is, the lower the level of person-organization fit, emotional commitment, and job satisfaction are. And the transition from permanent job to temporary job makes emotional commitment and job satisfaction lower. No growth and mismatch exerted a significant influence on organizational adaptation generall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