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216.73.216.214
216.73.216.214
close menu
KCI 등재
함께 주의하기의 개인차와 기질의 관련성
The Relationship between Individual Differences in Joint Attention and Temperament
박영신 ( Young Shin Park )
UCI I410-ECN-0102-2012-180-001745595
* 발행 기관의 요청으로 이용이 불가한 자료입니다.

함께 주의하기의 개인차와 기질의 관련성을 두 개의 연구에서 검토하였다. 연구 1에서는 함께 주의하기를 시도하기와 반응하기의 두 측면으로 구분하여 초기 사회적 의사소통 척도로 12개월, 15개월과 18개월에 세 차례 종단적으로 평가하였고, 기질은 유아 기질 질문지로 15개월에 평가하였다. 함께 주의하기는 기질과 관련이 있었고, 관련되는 기질차원은 월령과 함께 주의하기의 측면에 따라 달라졌다. 시도하기는 12개월에는 기질차원과 관련이 없었으나 15개월과 18개월에는 지구성과 관련을 보여 한 가지 일을 꾸준하게 하는 유아들이 다른 사람에게 함께 주의하기를 더 많이 시도하였다. 반응하기는 12개월에는 기분, 15개월에는 접근성과 관련이 있어서 부정적 기분을 덜 느끼는 유아들과 새로운 자극에 덜 위축되는 유아들이 다른 사람의 함께 주의하려는 시도에 반응을 더 많이 보였다. 18개월에는 기질차원과 반응하기는 관련이 없었다. 연구 2에서는 14개월에서 18개월 사이 유아들의 함께 주의하기를 초기 사회적 의사소통 척도와 유아-어머니 자유놀이의 두 절차로 평가하였고, 기질을 유아 기질 질문지로 평가하였다. 기질차원 가운데 규칙성이 두 상황 모두에서 함께 주의하기와 관련이 있어서 생리적 주기가 규칙적인 유아들이 낯선 검사자나 친숙한 어머니와 상호작용에서 함께 주의하기를 더 많이 하였으며, 유아-어머니 자유놀이에서 평가한 협응적 함께 주의하기는 그 밖에도 반응역, 주의분산도, 반응강도나 지구성과 같이 더 여러 기질차원과 의미 있는 관련성을 보였다.

The relationship between joint attention and temperament was examined in two studies. In Study 1, two aspects of joint attention-initiating joint attention(IJA) and responding to joint attention(RJA)-were assessed by means of Early Social Communication Scale(ESCS) at 12, 15, an 18 months and 9 dimensions of temperament were assessed by means of Toddler Temperament Questionnaire(TTQ) at 15 months. IJA showed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s with persistence at 15 and 18 months. RJA showed significant correlations with mood at 12 months and approach at 15 months. In study 2, joint attention of infants between 14 and 18 months of age was evaluated both in ESCS and in infant-mother free play and temperament was also assessed by means of TTQ. IJA in ESCS and coordinated joint attention in infant-mother free play showed significant correlations with rhythmicity. Coordinated joint attention in infant-mother free play showed meaningful relationships with several other dimensions of temperament such as threshold, distractibility, intensity.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