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216.73.216.214
216.73.216.214
close menu
KCI 등재
마음챙김에 기초한 인지치료가 공감 능력에 미치는 효과
Effects of Mindfulness-Based Cognitive Therapy(MBCT) on empathy
김정모 ( Jung Mo Kim )
UCI I410-ECN-0102-2012-180-001722285
* 발행 기관의 요청으로 이용이 불가한 자료입니다.

본 연구는 마음챙김이 공감 능력의 향상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기 위하여 실시되었다. 대학생을 대상으로 마음챙김에 기초한 인지치료(MBCT)를 실시한 결과, 프로그램의 참여집단은 통제집단과 비교하여 프로그램의 종료 후에 마음챙김 및 공감과 정서평가, 그리고 사회기술에서 유의한 향상을 보여주었다. 이 효과는 프로그램 종료 5주 후의 추수검사에서도 계속 유지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결과는 마음챙김에 기초한 인지치료가 타인의 인지적 관점과 정서 경험을 이해하고, 대인관계에서 사회적인 상호작용의 능력을 향상시켜 공감 능력에 긍정적인 효과를 미치고 있음을 보여주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 회기 내 변화를 살펴본 결과, 프로그램의 효과는 5회기 이후에 나타나고 있는 것으로 밝혀져 마음챙김이 공감 능력을 촉진하기 위해서는 개인의 내적 관점을 종합적으로 이해하는 시간이 필요하다는 것이 시사되었다. 논의에서는 마음챙김이 현재 순간의 내적 경험에 대한 자각뿐만 아니라, 타인의 내적 정서와 심리적 과정의 공감을 촉진시키는 이론적 배경이 토의 되었다. 본 연구 결과는 마음챙김이 의사소통 훈련에 기초한 공감 훈련 프로그램과 더불어 인지적, 정서적 자각에 기초한 새로운 공감 훈련의 프로그램으로 발전될 수 있는 가능성을 보여 주었다는데 의의가 있다고 할 수 있다.

In this study, authors examined the effects of mindfulness-based cognitive therapy for emotion regulation (MBCT) on empathy. The experimental group receiving MBCT and the control group were compared for mindfulness, empathy, emotional appreciation, and social skills at pretest, posttest, and 5-week follow-up. Repeated-ANOVA indicated showed that, compared to those receiving no MBCT, those receiving MBCT showed higher improvement in empathy, emotional appreciation, and social skills as well as mindfulness. These effects were maintained at five weeks after finishing MBCT. Visual inspection on scores on empathy, emotional appreciation, social skill, and mindfulness within sessions showed that the intervention proliferated mainly after the 5thsession. These results indicate that MBCT yields the positive effects on the empathic understanding of cognitive view and emotional experience of others and attributes to a development of a cognitive-emotional based empathic program, rather than the communication skills-based empathy training.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