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8.97.14.83
18.97.14.83
close menu
Accredited
장애 관련 과목 수강에 따른 대학생의 장애인에 대한 사회적 근접감에 관한 연구
Social Proximity toward Individual with Disabilities of Undergraduate Students Enrolled in Courses related to Disabilities
유수옥 ( Soo Ok Yoo )
UCI I410-ECN-0102-2012-370-001875212

본 연구는 장애관련 과목 수강에 따라 대학생의 장애인에 대한 사회적 근접감의 변화와 이러한 사회적 근접감이 장애유형에 따라 어떠한 차이를 보이는가에 대하여 연구하였다. 연구 대상은 장애 관련 내용으로 구성된 교양과목인 ``아동발달의 이해``와 ``장애인의 이해``를 수강하는 대학생 152명이다. 연구 결과, 장애인에 대해 구체적이고 충분한 내용을 다룬 ``장애인의 이해``를 수강한 대학생은 장애인에 대한 피상적인 정보 전달에 그친 ``아동발달의 이해``를 수강한 대학생과 비교해볼 때 사회적 근접감이 증가하였으며, 사회적 근접감의 하위 차원인 신체적·대인간 근접감에서도 변화가 나타났으며 특히 대인간 근접감에서 많은 차이가 나타났다. 그리고 두 과목 수강 대학생은 신체적 장애인 시각장애인에게 가장 높은 순위의 사회적 근접감을 나타내었고, 정신적 장애인 자폐성 장애인과 지적장애인에게는 가장 낮은 근접감 순위를 나타내었다. 특히 중재 효과인 사회적 접근감의 변화는 청각·의사소통 장애인이 가장 두드러졌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the social proximity toward individuals with disabilities of undergraduate students enrolled in understanding child development course and understanding individuals with disabilities course. Data were collected from 152 with questionnaire of undergraduate students with two courses and analyzed with t-test. The major findings in this study were as follows. Students enrolled in the course of understanding individuals with disabilities that has provided profound and sufficient information and discussion were increased more positive social proximity toward individuals with disabilities in the end of semester compared to in the beginning of the semester, while in the course of understanding child development that has provided limited information on disabilities were decreased. Especially, physical and interpersonal proximity toward individual with physical disabilities were remarkedly ameliorated. In addition, student were willing to have more proximity to visual and hearing·communication impairment such as physical disabilities but more distance to mental disabilities such as autism and intellectual disabilities.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