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8.97.14.82
18.97.14.82
close menu
윤리경영의 본질에 관한 철학적, 역사적 접근
박경규
UCI I410-ECN-0102-2012-320-001751537

오늘날 기업의 경쟁력을 결정하는 여러 요소들 중 윤리경영의 역할이 많이 강조되고 있다. 본 논문은 기업에서 추구하는 윤리경영의 학문적 뿌리에 관한 것이다. 윤리는 원래 철학에서 연구하는 분야로서 이에 대한 인식을 위해 몇 가지 접근법이 존재한다. 윤리를 인간이 마땅히 지켜야하는 의무라고 보는 의무론, 윤리를 최대다수의 선을 추구하는 것이라는 공리론, 어떤 행동의 사회적 정의원칙을 강조하는 정의론, 윤리를 인간의 권리로 보는 권리론, 그리고 수용될 수 있는 윤리수준과 관련하여 상대주의 등이 있다.윤리경영에 대한 역사적 발생배경으로써 독일 규범주의를 들 수 있다. 규범주의는 바로 현상의 존재의미에 관한 것으로서 행동의 당위성과 이러한 규범을 충족시키기 위한 도구에 대한 시각을 정립한 것이다. 초기 경영학 이론에서는 상행위에 있어서의 윤리경영, 상업학의 목표를 전체국민의 복지증진에 두는 등 초보단계로 머물다가 Nicklisch 가 윤리경영에 대해 많은 학문적 발전이 이루어졌다. Nicklisch는 조직법칙을 자유법칙, 형성법칙 그리고 유지법칙을 추구해야 성공할 수 있다는 당위적이 측면을 제시하였는데 여기서 자유법칙이 윤리경영의 내용을 이루고 있다. 자유법칙은 조직이 추구해야하는 목표에 대한 규범적 방향을 제시하는 것으로서 이를 정신의 법칙이라고 한다. 이 법칙은 본질적으로 인간이 가지고 있는 개별욕구가 어느 정도 충족되어야 하느냐에 대한 정당성을 제공해 준다.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