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논문에서는 선행 연구에서 간과하였던 李芳遠 관련 부분을 주목하여 ``제 1차 왕자 난``을 다른 각도에서 살펴보려 하였다. 이방원은 공양왕 2년 尹彛·李初의 獄이 발생하면서 守勢에 몰리기 시작한 李成桂의 정치적 상황을, 鄭夢周를 살해하여 一擧에 바꾸어 놓았다. 그는 태조 추대에도 결정적 역할을 하여 개국 초 태조에게 特待를 받았다. 그러나 賢妃와 外戚이 조직적으로 그를 견제하였고, 태조도 처음과는 달리 현비의 뜻을 수용하여 이방원을 동북면으로 내보냈고, 8남 李芳碩을 세자로 책립하였다. 이방원은 開國功臣에서도 배제되었다. 그는 전라도절제사였지만, 鄭道傳이 주도한 군제 개혁 후에는 李芳蕃의 휘하에 소속되어 있었다. 일련의 정치적 과정을 거치면서 추락한 태조·정도전에 대한 이방원의 반감이, 이후 전개되는 다른 상황과 맞물리면서 ``제 1차 왕자 난`` 발생의 根因이 되었다. 遼東攻擊論은, 조선을 계속 劫迫하고 자신의 호송을 집요하게 요구하는 명나라에 대해 정도전이 제기하였으나, 현실 문제를 거론하며 만류하는 趙浚의 견해를 수용한 태조가 그 논의를 중지시켰다. 그 후에도 이 문제로 태조가 가장 신임하는 두 사람의 대립이 계속되었기 때문에 요동공격론은 추진될 수 없었다. 사병혁파는, 7년 들어 잦아진 重患으로 국정 안정과 세자의 繼位를 고심하고 있었던 태조가, 사병을 거느린 왕자·종친들이 오히려 위험을 야기할 수 있다는 판단에서 전격적으로 단행한 조치였다. 그러나 사병을 혁파당하여 절박한 처지였던 이방원은, 하륜의 계책을 따라 태조의 병환이 깊어져 모든 사람의 관심이 집중되어 있을 때를 적기로 판단하였고, 외척·무장세력·동조세력들과 연합하여 ``제 1차 왕자 난``을 일으켰다. 그는 정도전 일파를 완전히 제거하고, 李芳果를 세자로 추대하여 명분과 실리를 다 얻었으며, 開國·定社 1등 공신에도 冊錄되었다. 압도적 위상을 확보한 그는 정종 대 국정을 좌우하게 된다.
Lee Bang-won reversed situation were killed Jeong Mong-ju when Lee Seong-gye had received threats political life by King Gongyang. And he was crowned Lee Seong-gye so crucial to the founding of the Joseon Dynasty built exploits. He received hospitality by King Taegjo because he was been countries in recognition of his contributions to. But he discussed with crown prince erect(세자책립) and gyekuk-gongsen(개국공신) were excluded from the debate because he had checked Hyeonbi(賢妃) coerced and suffered bullying. Lee Bang-won was Cholla-jeoljesa(전라도절제사) But he was conductor undergone stepbrother Lee Bang-beon after Jeong Do-jeon had led by military reform. His distaste for King Taegjo and Jeong Do-jeon were root cause of ``the 1st prince`s rebellion`` Jeong Do-jeon raised Ryodong-attackism(요동공격론) but King Taegjo stopped it have taken against of Cho Jun. Came in 7years King Taegjo is frequently serious illness. He abolished an army who was commanded bprince and royal family. Because it was threatening that he had thought the most important thing national stability and crowned princess issues. Lee Bang-won who an army have abolished by King Taegjo is acceptable to a secret plan of Ha Ryun. So he make opportunity to make disease severity of King Taegjo and he have been rallying allies to raise ``the 1st prince`s rebellion``. Through the rebellion Lee Bang-won removed all schools of Jeong Do-jeon. He was selected first grade gyekuk-gongsen and jeongsa-gongsen(定社功臣) Since he will be left to national by the most powerful in King Jeonggjong`s reig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