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에서는 Denver-II에 따른 발달지체 판정결과를 기준으로 CBCL 1.5-5 유아행동평가척도 부모용의 변별력을 확인하였다. 서울 및 경기 지역의 18개월-36개월 영유아와 어머니 366명을 대상으로 한국형 Denver-II와 CBCL 1.5-5를 실시하였고 Denver-II 결과에 따라 발달지체 40명, 정상집단 326명이 분류되었다. 결과를 보면 첫째, 99개 행동문제 문항 중 전체 영유아에서 25문항, 남아 19문항, 여아는 15문항에서만 발달지체 집단이 정상집단에 비해 높아서 개별 문항의 변별력은 비교적 낮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둘째, 10개 문제행동 증후군 척도와 5개 DSM 진단방식 척도의 발달지체 집단과 정상집단 간 차이를 검증한 결과 발달지체 집단에서 위축, 주의집중문제, 내재화 문제, DSM 전반적 발달문제, DSM ADHD 척도의 점수가 높았다. 셋째, ROC분석을 통해 발달지체 집단 예측력이 높은 척도를 확인하고 각 하위척도들의 발달지체 예측력을 비교한 결과 공통적으로 위축, 주의집중문제, 내재화 문제, 총 문제행동 척도, DSM 전반적 발달문제 척도의 변별력이 높았다. 넷째, 표준화 규준의 절단점에 근거한 CBCL 1.5-5의 발달지체 변별력을 확인한 결과 변별력이 대체로 적절하였으나 일부 척도예서는 선별 목적에 따라 규준을 하향 조정할 필요성이 제기되었다. 즉, 위축, 주의집중문제, DSM 전반적 발달지체 척도의 경우 임상장애 절단점인 70T일 때 민감도와 특이도가 가장 높았으나 포괄적 척도인 내재화 문제, 총 문제행동 척도의 경우 규준을 55T점까지 하향 조장할 필요성이 제기되었다. 이와 같이 본 연구에서 확인된 CBCL 1.5-5의 발달지체 변별력 및 임상적 시사점, 그리고 제한점이 논의되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verify the validity and clinical utility of Korean version of the Child Behavior Checklist 1.5-5 in the screening of developmental delayed infants. The participants, who were screened by the Denver-II, included 40 developmental delayed infants(25 boys, 15 girls) and 326 normal infants(165 boys, 161 girls). Results indicated that the only 25 items among the CBCL 1.5-5 of total groups, 19 items of boys and 15 items of girls discriminate developmental delayed infants well. Further, discriminant validity was confirmed by mean differences on the subscales of Withdrawn, Attention Problems, Internalizing Problems, DSM Pervasive Developmental Problems and DSM ADHD between the two groups. Additionally, ROC analyses demonstrated that Withdrawn, Attention Problems, Internalizing Problems, Total Behavior Problems and DSM Pervasive Developmental Problems significantly predicted developmental delayed infants compared to normal infants. Also, the clinical cuttoff score criteria adopted in the Korean version of CBCL 1.5-5 for subscales of Withdrawn, Attention Problems and DSM Pervasive Developmental Problems were shown to be valid. However, the cutoff scores criteria for Internalizing Problems and Total Behavior Problems need to be lower by 55T. The implications of using the CBCL 1.5-5 in the screening of developmentally delayed infants and clinical suggestions were discuss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