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원기반(resource-based) 이론과 행동주의 기업이론(behavioral theory of the firm)에서는 조직여유(organizational slack)가 기업 성과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고 보는 반면, 전형적인 대리인 이론(agency thoery)에서는 조직 여유가 기업 성과에 부정적 영향을 주는 것으로 파악한다. 이 연구에서는 조직 여유와 기업 성과 간의 관계를 분석하기 위해 랜덤효과 FGLS 회귀모델과 그레인저 인과관계 모델을 사용하여 영국기업의 패널자료를 분석하였다. 분석결과에 따르면, 잠재적 여유(potential slack)는 기업 성과에 부정적 혹은 U 형태의 영향을 미치고, 즉시가능 여유(available slack)는 기업 성과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이 실증연구 결과는 각 이론들을 부분적으로만 뒷받침하는 것으로 판단된다.
While resource-based theory and the behavioral theory of the firm tend to argue for the positive relation between organizational slack and firm performance, standard agency theory predicts a negative effect of slack on performance. The study analyzes the panel data of 280 British firms for 19 years by using random effects FGLS regression technique and Granger causality test in order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organizational slack and firm performance. The empirical analysis finds (i) the negative and U-shaped effect of potential slack on firm performance and (ii) the positive effect of available slack. These results partially support agency theory in the case of potential slack and the resource-based and behavioral theory of the firm in the case of available slac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