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8.97.9.171
18.97.9.171
close menu
천연기념물 제336호 독도의 식물생태환경과 특성
Plant Ecological Environment and Characteristics of Dokdo Island, Natural Monument No. 336
( Won Hyeon Lim )
UCI I410-ECN-0102-2012-480-001619655

본 연구는 독도생태계 전반에 대한 조사 및 평가를 실시함으로써 독도 생태자원에 대한 보전대책 수립과 관리방안을 모색하기 위한 기초자료 제공에 그 목적이 있다.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독도에서 분포하는 관속식물상은 29과 44속 47종 1아종 3변종 등 총 51분류군이 확인되었다. 식물구계학적 특정식물은 Ⅴ등급의 경우 초종용 1분류군, Ⅳ등급종은 왕호장근, 섬괴불나무, 섬초롱꽃, 왕김의털 등 4분류군, Ⅰ등급의 경우 번행초, 갯장대, 보리장나무, 사철나무, 갯까치수영, 해국 등 6분류군이 출현하였다. 본 지역에서 확인된 귀화식물은 흰명아주, 갓, 방가지똥, 큰이삭풀 등 4분류군으로 나타났다. 식생은 동도의 경우 땅채송화, 개밀, 해국, 갯제비쑥, 돌피, 큰이삭풀이, 서도의 경우 개밀, 갯제비쑥, 가는명아주, 해국, 보리장나무, 왕호장근, 섬괴불나무가 우점한 형태를 하고 있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offer the raw data for trying to find a management plan and establishing a conservation measure about ecological resources of Dokdo Island by surveying and evaluating on it`s ecosystem in general. The results are as follows. The flora of Dokdo Island were 51 taxon; 29 families, 44 genera, 47 species, 1 subspecies and 3 forma. The specific plants by floristic region are as follows. The fifth degree was Orobanche coerulescens. The fourth degree were 4 taxa; Fallopia sachalinensis, Lonicera insularis, Campanula takesimana and Festuca rubra. The first degree were 6 taxa; Tetragonia tetragonoides, Arabis stelleri, Lysimachia mauritiana and so fourth. The naturalized plants were 4 taxa; Chenopodium album, Brassica juncea, Sonchus oleraceus and Bromus unioloides. The vegetation of Dongdo were dominated by Sedum oryzifolium, Agropyron tsukushiense var. transiens, Aster sphathulifolius, Artemisia japonica subsp. littoricola and so fourth. The dominant species of Seodo were Agropyron tsukushiense var. transiens, Chenopodium album var. stenophyllum, Fallopia sachalinensis and so fourth.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