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8.97.14.80
18.97.14.80
close menu
Accredited
유가적 수양론으로 본 호남지방 별서형 정자 입지와 배치의 의미해석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Interpretation of the Traditional Private Garden Pavilion in Honam Province from the Perspective of Confucian Frame of Self-Cultivation by Its Location and Arrangement
김진수 ( Jin Su Kim ) , 김윤상 ( Yun Sang Kim )
UCI I410-ECN-0102-2012-480-001754040

본 연구의 목적은 호남지방 전통 별서형 정자의 입지와 배치계획 범주에서 보이는 건축적 공간체험구조로써의 구별수법에 대한 고찰에 있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연구를 통해서 이러한 구별수법들은 거경-궁리, 격물-치지의 수양적개념을 전제하고 있음을 살펴볼 수 있었으며, 자연합일은 참된 가치의 인식과 과거의 좁은 인식적 틀을 벗어난 인식적 의미개방을 전제로 하여 앎의 궁극적 상태로써의 ``완상``을 통해 이루어진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정자권역에서의 인식적 구별개념이 필요하며, 구체적인 정자권역의 구별개념으로는 속계로부터 1) 정자권역을 구별하기 위한 방법으로써의 ``탈속적 떼어놓음``과 2) 인식개방을 위한 ``관조적 거리둠``의 개념이라는 서로 다른 두 가지 방법이 있음을 본 정자연구를 통해 알 수 있었다. 본 연구에서 별서 정자원림에 적용되어진 구별을 위한 명확한 수법적 고려를 확인할 수 있었으며, 간접권역 진입부와 정자직접권역 초입부에서의 구별수법들에 의해서 성취되어지고 있었다. 입지적 선정차원인 정자 간접권역 진입부에서는 1) 언덕-넘음(돌아듬), 2) 물-건넘, 3) 산-높음, 4) 숲-통과, 5) 입구-좁음의 구별수법을 사용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으며, 배치적 차원인 정자 직접권역 초입부에서의 구별수법으로는 1) 공간적 거리둠과 2) 물(계류)에 의한 거리둠, 3) 물(연못)과 공간적 거리둠의 조합에 의한 구별수법으로 나누어 볼 수 있었다.

This study focused on the method of separation - space organization- as one of the architectural methods that is considered by the view point of its location and arrangement of ``Byoul-seo`` private garden pavilion in Honam province. As a result, the followings are conclusions; By this study, they can be found in the concept of ``居敬窮理``, ``格物致知``. It is presumed that nature union is archived through the ``yan-sang(玩賞)`` which is ultimate state of knowledge that is based on the premises of opened significance in emancipation from narrow view point in the past and cognition of value. Therefore, it is needed to know the unworldly point of space perception about the pavilion territory, furthermore to have conceptual method to distinct pavilion from the world. there are two methods in the distinct concept in this pavilion research: unworldly separation and meditative separation. It is concluded that the specific consideration of the method of separation that is applied in the Byoul-seo pavilion. And it is accomplished by the contemplation of separation method in approach and entrance of direct influence area. they could be 1) cross the hill, 2) cross over a brook, 3) lifted up in the mount, 4) penetrate the forest, and 5) narrow entrance, which could be part of location.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