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연근무제는 영유아자녀 양육지원, 개인에 기반한 조세체계와 함께 일과 삶의 균형(Work-Life Balance), 가족친화적 정책(family friendly policy)의 대표적인 형태이다. 우리나라에서도 유연근무제의 하나인 시간제근무(Part-time work)가 현재 시범 실시 중에 있으며, 오는 10월경에 전 부처로 확대 실시될 계획이다. 유연근무제는 일자리 창출의 문제와도 연관되어 앞으로 큰 쟁점으로 부각될 것으로 예상된다. 이 연구에서는 유연근무제가 30여 년간 운영되어온 선진국의 현황을 분석하고 시사점을 도출하여, 우리나라에서의 발전방안을 모색하고자 한다. 이 연구는 유연근무제에 관한 연구가 활성화되지 못한 현재 하나의 탐색적 연구로서 그 의의를 갖는다. 이 연구의 구성은 다음과 같다. 우선 유연근무제를 정의하고, 다음 장에서는 영국, 미국, 독일 등 선진국의 유연근무제 운영 사례를 통해 상세한 세부지침의 마련, 일관성 있는 관리, 관리자의 인식 제고를 위한 홍보, 지속적인 평가와 평가 결과의 공개, 재정의 확보 등 다섯 가지의 핵심요소를 도출한다. 마지막으로는 이러한 다섯 가지 핵심요소를 우리나라에 어떻게 적용할 수 있을지 방안을 모색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