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8.97.14.82
18.97.14.82
close menu
Candidate
다문화정책 네트워크의 구성전략과 과제
Configuration Strategies and Challenges of The Multi-Cultural Policy Networks in Korea
김형수 ( Hyeong Soo Kim )
UCI I410-ECN-0102-2012-340-001739080

우리 사회가 `다문화 사회(multi-cultural society)`로 이행해 감에 따라 파생되는 다양한 문제에 대한 대책이 필요한 시점이다. 2006년 참여정부의 다문화정책을 시발로 다문화에 관련된 다양한 정책이 논의되고 있다. 하지만 전통적인 관료제에 의한 접근방식으로는 다양한 정책적 이슈들을 통합하고 관리하는 것은 어려운 실정이다. 따라서 복잡다기한 다문화정책의 실효성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공공부분의 네트워크 구축을 통한 효과적인 지원방안을 강구하는 노력이 필요하다. 이에 본 연구는 각 부처별로 진행되고 있는 정부 차원의 다문화 정책을 살펴보고 그 문제점을 지적하여 부처 간의 연계방안에 관한 정책적 함의를 구하는 것이 목적이다. 이러한 연구는 향후 다문화사회로의 이행과정에서 야기되는 문제점들을 최소화하는 정책적 기여를 할 수 있을 것으로 본다.

The trend toward multi-cultural society has been rapidly grown in many aspects. Nevertheless, the tendency of globalization are ubiquitous and sweep almost every corner of the world. However, the governmental efforts to make good combinations with the foreign culture have been rare that create some of the contradictions. The United Nation has recommended Korea having an inclusive attitude toward foreigners and the foreign cultures. To be a global leader, it is necessary for the Korean to generate multi-cultural societies by absorbing not only foreign labors, but also the foreign cultures. In this perspective, this paper have dealt with some of the issues of multi- cultural society. The Korean government should play a pivotal role in building a global community by establishing the network systems with other cultures. This paper suggest some ways of improving the globalization by structuring the multicultural policy communities. The establishing multi-cultural policy network means obviously making linkages with other cultures. This trend would, we hope, lead us to realization of a global leader in the very near future.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