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8.97.14.81
18.97.14.81
close menu
Accredited
임신,출산 관련 어휘 연구 -경상도 지역을 중심으로
Vocabulary Study on "Pregnancy,Childbirth" -Focusing on Gyeongsang-do Region
홍기옥 ( Gi Ok Hong )
한민족어문학 vol. 57 189-225(37pages)
UCI I410-ECN-0102-2012-810-001805186

본 연구는 경상도 지역의 ``임신·출산``에 관한 어휘를 조사하고 이에 관한 어휘목록을 체계화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경상도의 여러 제보자를 통해 임신·출산 주제에 대한 다양한 어휘 수집하여, 임신·출산에 관한 어휘를 목록화하였다. 여기서는 임신·출산 과정에 관련된 어휘, 출산 후 행위 및 의식에 관련된 어휘, 기타 신생아·임산부 관련 어휘를 정려하였다. 인류의 시작과 함께 시작된 입선·출산의 문제는 긴 역사를 가지고 있고 이와 관련된 말과 표현도 많이 있을 것이라 추정할 수 있다. 출산 문화의 변화로 임신·출산에 관한 전통적인 생활 어휘도 노년층을 중심으로 명맥만 유지하고 있다. 따라서 사라져 가고 있는 임신·출산에 관한 전통적인 생활 어휘를 조사, 정리하는 일은 필요하며 의미있는 작업일 것이다.

The purpose of the present research is to investigate vocabulary on ``pregnancy·childbirth`` of the Gyeongsang-do region and to systemize a vocabulary list on this. This research cataloged vocabulary on pregnancy·childbirth by collecting diverse vocabulary on pregnancy·childbirth through several informers of Gyeongsang-do. Here, vocabulary related to a process of pregnancy·childbirth, vocabulary related to behaviors and awareness after childbirth and other vocabulary related to newborn baby·pregnant women were arranged. The problem of pregnancy·childbirth started with the beginning of the human race has long history, so it can be estimated that there would be many words and expressions related to this. Traditional life vocabulary on pregnancy·childbirth due to change of childbirth culture is also maintaining only its slender existence with the center of elder people. Accordingly, the work investigating and arranging traditional life vocabulary on pregnancy·childbirth, which is disappearing, is necessary and would be meaningful work.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