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8.97.9.169
18.97.9.169
close menu
주식수익률의 고유변동성과 기대수익률 간의 관계에 관한 연구
변영태 , 김태혁
UCI I410-ECN-0102-2012-320-001818619

본 연구는 한국주식시장을 대상으로 주식수익률의 고유변동성(idiosyncratic volatility)과 기대수익률 간의 관계에 대해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Fama-French 3요인 모형을 이용하여 고유변동성을 측정하였고, 이러한 기준에 근거하여 크기에 따라 분류된 포트폴리오의 동일가중평균(equal weighted) 및 가치가중평균(value weighted) 수익률을 분석하였다. 분석결과의 강건성(robustness) 검정을 위해 주식수익률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알려져 있는 기본적인 변수인 기업규모, 장부가/시장가 비율, 거래량, 거래회전율, 주식/순이익 비율, 주식/현금흐름 비율, coskewness 등을 통제한 경우에도 고유변동성 효과가 존재하는가를 분석하였다. 또한 과거 주식수익률의 행태인 모멘텀 효과, 포트폴리오 구성기간과 보유기간에 변화를 주는 거래전략의 수정 그리고 신규상장종목의 통제 한 후에도 고유변동성 효과가 존재하는지 분석하였다. 분석결과에 의하면 고유변동성과 동일가중평균수익률 간에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음(-)의 관계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고유변동성이 가장 높은 포트폴리오는 가장 낮은 포트폴리오에 비해 통계적으로 유의한 낮은 수익률을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고유변동성과 가치가중평균 수익률 간에는 음(-)의 관계를 보였지만 Ang et al.(2006)과는 달리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고유변동성과 동일가중평균수익률 간의 음(-) 관계에 대한 강건성 검정에서 기업규모, 장부가/시장가 비율, 거래량 등 기본적변수를 통제한 후에도 고유변동성 효과인 고유변동성이 높은 주식들이 낮은 수익률을 갖는다는 사실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모멘텀효과, 거래전략의 수정, 신규상장종목을 통제 한 후에도 고유변동성 효과는 여전히 존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우리나라 주식시장에서 고유변동성은 주식수익률을 결정하는 중요한 요인이 될 수 있음을 암시한다.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