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216.73.216.214
216.73.216.214
close menu
KCI 후보
마켓타이밍과 초기성장성이 자본구조의 조정속도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Market Timing and Initial Growth Status on Adjustment Speed of Capital Structure
신민식 ( Min Shik Shin )
금융공학연구 7권 1호 143-170(28pages)
UCI I410-ECN-0102-2012-320-001841285

본 연구는 1986년 1월 1일부터 2006년 12월 31일까지 한국증권선물거래소의 유가증권시장에 상장된 기업을 대상으로 마켓타이밍과 초기성장성이 자본구조의 조정속도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분석 하였으며, 주요한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상충관계변수뿐만 아니라 마켓타이밍과 초기성장성변수도 기업의 자본구조를 유의하게 설명한다. 상충관계변수 중에서, M/B 비율은 시장가 레버리지에 유의한 음(-)의 영향을 미치고, 유형성 비율은 유의한 양(+)의 영향을 미치며, 수익성 비율은 유의한 음(-)의 영향을 미치고, 기업규모는 유의한 양(+)의 영향을 미친다. 그리고 마켓타이밍과 초기성장성변수는 시장가 레버리지에 유의한 음(-)의 영향을 미친다. 둘째, 기업들은 목표 레버리지를 가지고 있으며, 실제 레버리지가 목표 레버리지에서 이탈하면 다시 목표 레버리지를 향하여 레버리지를 부분적으로 조정한다. 상충관계변수만을 고려하면, 시장가 레버리지와 장부가 레버리지의 조정속도는 각각 0.328과 0.290으로 측정된다. 따라서 기업들은 목표 레버리지와 실제 레버리지간의 갭을 매년 30% 내외로 조정한다. 셋째, 상충관계변수 외에 마켓타이밍과 초기성장성변수를 모두 고려하면, 시장가 레버리지의 조정속도는 0.328에서 0.180으로 감소하고, 장부가 레버리지의 조정속도는 0.290에서 0.287로 큰 변화가 없다. 따라서 마켓타이밍과 초기성장성변수는 시장가 레버리지의 조정속도를 지연시키는 반면에, 장부가 레버리지의 조정속도에는 별다른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넷째, IMF 이후에 시장가 레버리지의 조정속도는 감소하고, 장부가 레버리지의 조정속도는 크게 증가하였다. 이는 IMF 이후에 `부채비율 200%로 조정`이라는 규제정책에 따라 영업이익의 증가가 부채비율의 감소로 이어지면서 장부가 레버리지의 조정속도가 크게 증가하였다고 할 수 있다. 결론적으로, 한국증권시장에서 상충관계변수뿐만 아니라 마켓타이밍과 초기성장성변수도 자본구조의 조정속도에 부분적으로 영향을 미친다고 할 수 있다. 특히, 마켓타이밍과 초기성장성변수는 시장가 레버리지의 조정속도를 감소시킨다.

In this paper, we study empirically the effects of market timing and initial growth status on adjustment speed of capital structure of firms listed on Korea Securities Market. The main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Partial adjustment model of capital structure indicates that firms have long run target leverage, and that firms adjust about 30% of the gap between actual and target leverage each year. The estimated adjustment speeds of market value and book value leverage are 0.328 and 0.290 each. Capital structure variables suggested by the tradeoff theory explain mainly adjustment speed of leverage, but capital structure variables suggested by market timing and initial growth status theory explain also partially adjustment speed of leverage. So to speak, capital structure variables suggested by the tradeoff theory have stronger effects on adjusting behavior toward target leverage than capital structure variables suggested by market timing and initial growth status theory. If capital structure variables suggested by the tradeoff theory as well as market timing and initial growth status theory are involved in the partial adjustment model, adjustment speed of market value leverage decrease from 0.328 to 0.180, and adjustment speed of book value leverage decrease from 0.290 to 0.287. Conclusively, capital structure variables suggested by the tradeoff theory as well as market timing and initial growth status theory appears to have a critical impact on adjustment speed of capital structure in Korea Securities Market.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