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8.97.14.80
18.97.14.80
close menu
중년 여성 휘트니스 클럽 희원들의 몰입 경험이 신체적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Social Science : The Effects of the Flow Experience of Old Woman Members of Fitness Club On the Physical Self-Efficacy
김대근 ( Dae Geun Kim ) , 이성학 ( Sung Hak Lee )
UCI I410-ECN-0102-2012-690-001717978
* This article cannot be purchased.

【연구배경】본 연구는 휘트니스클럽 중년 여성 회원들의 운동 몰입 경험이 신체적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서 규명하고자 하였다.【방법】본 연구는 대전지역 소개 휘트니스 클럽에 참가하고 있는 40~50대의 중년 여성을 조사 대상으로 하였으며, 유층집락 무선표집법을 이용하여 표본을 추출하였다. 연구모형은 사회·인구학적 특성을 통제변수로, 몰입 경험을 독립 변수로 설정하고, 신체적 자기효능감을 종속 변수로 하여 구성하였으며, 회수된 설문지는 통계방법은 기술 통계 분석, 요인 분석, 빈도 분석, 다중 비교, t-검증, 상관분석, 등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결과】첫째, 사회·인구학적 변인들은 몰입 경험과 통계적 유의성을 나타내었는데, 연령, 학력, 주관적 사회 계층, 운동기간, 참여빈도, 참여시간, 운동수준은 통계적 유의성을 가지고 있었던 반면 직업, 소득 수준은 통계적 유의성이 없었다. 둘째, 사회·인구학적 변인 중 연령, 직업, 소득수준, 주관적 사회계층, 운동기간, 참여빈도, 참여시간, 운동수준은 신체적 자기효능감과 통계적 유의성을 나타내었지만 학력은 유의성을 나타내지 않았다. 셋째, 몰입 경험과 신체적 자기효능감의 관계는, 몰입경험은 인지된 신체능력과는 통계적 유의성을 나타낸 반면 신체적 자기표현 자신감과는 통계적 유의성이 없었다.【결론】휘트니스 클럽은 우리나라에서 매우 폭넓은 저변을 가지고 있는 스포츠 분야이며, 현대사회의 특성에 비추어 점차 그 중요성이 증대되어 가는 스포츠임에도 불구하고 학문적 연구는 소홀한 편이다. 선행 연구의 부족으로 인하여 본 연구의 결과를 검증하는데 있어서 한계점이 있었던 바 심도 있고 폭 넓은 후속 연구를 통해서 본 연구의 결과를 일반화 할수 있기를 기대한다.

【Background】This study aims to identify What effects the flow experience by the fitness participation has on self-efficacy.【Methods】For the study subjects, old woman members in their 40`s-50`s at the fitness club in Daejun were selected as a population and then extracted by the method of stratified cluster random sampling. The statical methods in this study are the descriptive analysis, factor analysis, frequency analysis, multiple comparison, T-testing, correlation analysis, regression analysis and so on.【Results】As the result of analysis using the above study methods and procedures, first, there i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flow experience & physical self-efficacy under the social and demographic characteristics of fitness club members. Second, the flow experience for exercise of fitness club members will have some effects on physical self-efficacy.【Conclusions】Based on the above study results, it is required to continue an in-depth research on the fitness club activity by the sports psychologists. And also the further studies are expected to generalize this study. Finally, it is expected to carry the research on more diverse variables which influences the physical self-efficacy and sports values of fitness club participants.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