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216.73.216.191
216.73.216.191
close menu
KCI 등재
연구 논문 : 폴 틸리히, 예술의 신학
Paul Tillich, The Theology of Art
김산춘 ( San Choon Kim )
미학예술학연구 32권 227-249(23pages)
DOI 10.15727/JASA.32.0.08
UCI I410-ECN-0102-2012-600-001887513

문화신학자로 널리 알려진 폴 틸리히(Pau1 Tillich, 1886-1965)는 거의 40여 년에 걸친 그의 강의, 강연, 논문 등을 통해 종교와 예술의 상호관계에 대한 자신의 입장을 일관되게 표명하였다. 틸리히의 예술에 대한 개념은 다음과 같이 요약 할 수 있다. "예술은 궁극적 실재에 대한 한 개인의 체험의 표현이다." 그러나 정작 틸리히 자신은 자신의 글들을 모아 한권의 책으로 펴낸 적은 없다. 사후 Dillenberger의 편집에 의해 출판된『On Art and Architecture』(1987)만이 틸리히 의 예술의 신학의 정수를 시대 순으로 더듬어볼 수 있는 유일한 보고서이다. 필자는 무엇보다도 틸리히 자신의 목소리가 담긴 이 책을 중심으로 그의 예술의 신학을 주로 표현주의 회화론을 통해 살펴보고자 한다. 우리가 틸리히의 예술의 신학을 이해하기 위해 우선 검토해야 할 핵심적인 사항들은 다음과 같다. 첫째, 종교와 문화의 관계이다. 틸리히는 종교와 문화를 대립적인 것이 아니라 상호내재성을 가진 것으로 보았다. 우리는 이를 이른바 그 의 ``문화의 신학``안에서 살펴볼 것이다. 둘째, 그는 바로 그 문화의 신학을 설명하기 위해, 문화의 가장 전형적인 형태인 예술을 선택하는데, 여기서 예술은 표현주의적 양식의 예술을 가리킨다. 왜 틸리히는 철저하게 시종일관 표현주의 양식을 고수하였는가? 그것은 틸리히에게 표현주의라는 양식 그 자체가 종교적이었기 때 문이다. 셋째, 틸리히는 시각예술과는 좀 거리가 멀다고 할 프로테스탄티즘의 신학자이다. 그런 그가 논하는 프로테스탄트 예술이란 대관절 무엇을 말하는가? 틸리히가 지적하듯이, 프로테스탄티즘은 ``말``에 묶여있으며 시각예술과는 극히 의심스런 관계에 있었다. 그런데 그 자신은 정작 카톨릭으로 간주될 정도로 시각예술 에 대해 개인적인 애착을 보였다. 그러므로 이 글의 과제는 문화의 신학, 표현주의 양식 그리고 진정한 종교 적(프로테스탄트적) 예술이란 무엇인가를 밝히는 일이 될 것이다. 틸리히의 예술의 신학은 그의 문화의 신학의 한 전형이었다. 신학이 모든 존재자들 안에서 그리고 모든 존재자들을 통한 신적인 것의 현현에 관한 이야기 라면 예술의 신학은 가능하고, 그때 예술의 신학은 예술의 행위와 창조에 있어서 의 신적인 것의 현현에 관한 학설이 된다. 예술의 신학은 예술작품 안에서 궁극 적 실재의 현현을 인지할 수 있다는 것을 전제로 하며, 그 결과 결정적인 것은 예술이 종교적이 되기 위해서 꼭 종교적인 대상을 다루지 않아도 된다는 것이다. 궁극적인 의미와 존재의 체험이 표현적으로 주어진다면 세속 예술도 종교적일 수 있다. 궁극적 실재에 대한 체험이 표현된 모든 시대의 예술적 양식은 그 시대의 종교적 실존의 기록이다. 틸리히가 보기에 20세기의 위대함은 표현주의 원리의 발견, 즉 미화적 자연주의(beautifying naturalism)의 표층을 파괴하는 힘을 가지고 실재의 심층(the depth of realty)으로 돌파하는 원리의 재발견에 있었다. 그리고 거기서 오히려 그 는 세속적인 주제의 풍요로움 안에서 새로운 프로테스탄트적 종교적 예술의 가능성을 보았다.

Paul Tillich(1886-1965) is well known as a theologian of culture. For almost 40 years, he expressed through lectures, speeches, and articles his consistent view on the interrelationship between religion and art. His essential conception of art is seen in the following statement: "Art is an expression of an individual`s experience of the ultimate reality." However, he himself did not collect his writings on art for a book.『On Art and Architecture』 (1987) is edited and published posthumously by Dillenberger. And it is the only material by which one can follow chronologically the essential ideas in Tillich`s theology of art. Focussing on the book, therefore, this article wants to consider his theology of art in general and his expressionist theory of painting in particular. For adequate understanding of Tillich`s theology of art, however, it is necessary to recognize the following points. First, Tillich sees that religion and culture are not contradictory but mutually indwelling. This article will elaborate on that point in relation to his so-called ``theology of culture.`` Second, in explicating his theology of culture Tillich chooses the most typical form of art in culture, that is, ``expressionistic style`` of art. It is because the expressionistic style itself for him is ``religious.`` Third, Tillich is a theologian of Protestantism that rather distances itself from visual arts. As he points out, Protestantism tied to ``words`` is suspicious of visual arts. But Tillich is personally attached to visual arts to the effect that he could be considered Catholic. This paper` s task is to make clear Tillich`s theology of culture, and his thoughts on expressionistic style and religious(Protestant) art. Tilhich`s theology of art is, in fact, a type of his theology of culture. If theology is a discourse on the manifestation of the divine in and through all beings, theology of art is possible and, in that case, it is a theory of the manifestation of the divine in the very act and creation of art. A theology of art presupposes that one is able to recognize the manifestation of the ultimate reality in artworks. As a result, - this is decisive-in order for art to be religious it needs not necessarily deal with specifically religious objects. A secular art can be religious if an expression is given to the experience of the ultimate meaning and being. Then, the art form of every age, in which experiences of the ultimate reality are expressed, is the record of the religious existence of the age. As Tillich sees it, the greatness of the 20th century lies in a discovery of the principle of expressionism, that is to say, a rediscovery of the principle of breakthrough into the depth reality by destroying the surface of beautifying naturalism. Therein, that is, in the abundance of secular subjects, Tillich sees rather the possibility of a new Protestant religious art.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