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8.97.9.171
18.97.9.171
close menu
Accredited
KoFlux 역정: 배경, 현황 및 향방
KoFlux`s Progress: Background, Status and Direction
권효정 ( Hyo Jung Kwon ) , 김준 ( Joon Kim )
UCI I410-ECN-0102-2012-520-001687747

KoFlux는 한국의 주요 육상생태계와 대기간의 에너지, 물, 이산화탄소의 순환을 감시하기 위해 구축한 에디 공분산 기술을 기반으로 하는 미기상학 플럭스타워 관측지의 국내 관측망이다. KoFlux의 사명은 AsiaFlux와 동일하게 지구상의 생명의 질과 지속가능성을 보장하기 위해 아시아의 주요 생태계를 감시하고 돌보는 것이다. 구체적인 KoFlux의 목적은 (1) 생태계를 감시하고, 자료를 수집, 저장하고 배포를 가능하게 하는 하부구조와 (2) 이에 관련된 지식과 자료를 효과적으로 적용하고 배포하기 위해 정기적으로 포럼과 단기 훈련과정을 과학공동체에 제공하는 것이다. KoFlux는 아시아의 주요 육상생태계의 탄소/물/에너지 교환에 관한 생태계과학 정보와 지식을 창출하고, 과학적 연구와 적용에 있어서 다학문간 협력과 융합을 촉진하고, 지속적인 생태계 서비스를 지역사회에 제공함으로써 AsiaFlux의 비전인 "사고하는 공동체, 배움의 프런티어"를 추구하며 실천해 나간다. 현재 KoFlux 네트워크는 총 일곱 개의 관측지로 구성되어 있는데 국내의 경우 활엽수림, 침엽수림, 혼효림, 논과 비균질 농경지를 포함하며, 국외의 경우 남극과 북극의 툰드라 생태계에 위치해 있다. 등재된 관측지는 모두 표준화된 프로토콜을 사용하여 자료를 체계적으로 처리하고 있으며 자유롭게 자료 활용이 가능하도록 품질 검증된 플럭스 자료의 데이터베이스를 지속적으로 구축해 가고 있다. KoFlux는 정기적인 학술 논문 출판, 포럼 및 훈련과정을 통해, 네트워크를 성장시키고, 플럭스 관측 및 모델링 전문가간의 연결 및 정보교환을 위한 아고라를 제공하며, 관측 및 자료 분석을 위한 전문인력 양성을 위한 교육에 힘쓰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지속적인 노력에도 불구하고 KoFlux에 등재된 산학연기관을 제외하고는 아직까지 네트워크의 성장이 제한되어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학문간의 벽을 허물고, 네트워크에 대한 동반자 및 주인 의식을 고취시키기 위해 KoFlux는 2011년부터 서울대학교에 설립된 국가농림기상센터를 중심으로 NCAM의 주요 서비스를 담당하게 될 것이다. 이러한 일치된 협력은 현재의 감시 네트워크를 더욱 보강시키고, 차세대 과학자들을 길러내며, 우리 사회에 지속가능한 생태계 서비스의 제공을 보장할 수 있도록 이끌어 줄 것이다.

KoFlux is a Korean network of micrometeorological tower sites that use eddy covariance methods to monitor the cycles of energy, water, and carbon dioxide between the atmosphere and the key terrestrial ecosystems in Korea. KoFlux embraces the mission of AsiaFlux, i.e. to bring Asia`s key ecosystems under observation to ensure quality and sustainability of life on earth. The main purposes of KoFlux are to provide (1) an infrastructure to monitor, compile, archive and distribute data for the science community and (2) a forum and short courses for the application and distribution of knowledge and data between scientists including practitioners. The KoFlux community pursues the vision of AsiaFlux, i.e., "thinking community, learning frontiers" by creating information and knowledge of ecosystem science on carbon, water and energy exchanges in key terrestrial ecosystems in Asia, by promoting multidisciplinary cooperations and integration of scientific researches and practices, and by providing the local communities with sustainable ecosystem services. Currently, KoFlux has seven sites in key terrestrial ecosystems (i.e., five sites in Korea and two sites in the Arctic and Antarctic). KoFlux has systemized a standardized data processing based on scrutiny of the data observed from these ecosystems and synthesized the processed data for constructing database for further uses with open access. Through publications, workshops, and training courses on a regular basis, KoFlux has provided an agora for building networks, exchanging information among flux measurement and modelling experts, and educating scientists in flux measurement and data analysis. Despite such persistent initiatives, the collaborative networking is still limited within the KoFlux community. In order to break the walls between different disciplines and boost up partnership and ownership of the network, KoFlux will be housed in the National Center for Agro-Meteorology (NCAM) at Seoul National University in 2011 and provide several core services of NCAM. Such concerted efforts will facilitate the augmentation of the current monitoring network, the education of the next-generation scientists, and the provision of sustainable ecosystem services to our society.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