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8.97.9.174
18.97.9.174
close menu
Accredited SCOPUS
당귀,지황,홍삼 첨가에 따른 발효 청국장의 기능성 변화 연구
Changes in the Functionality of Cheonggukjang During Fermentation Supplemented with Angelica gigas, Rehmanniae Radix, and Red ginseng
최은지 ( Eun Ji Choi ) , 이정숙 ( Jung Sook Lee ) , 장흥배 ( Hung Bae Chang ) , 이미숙 ( Mee Sook Lee ) , 장해동 ( Hae Dong Jang ) , 권영인 ( Young In Kwon )
UCI I410-ECN-0102-2012-470-001679391

일반 청국장과 한약재를 첨가한 CKJ-DD, CKJ-RG, CKJDD+RG, CKJ-RED의 기호도 및 기능성을 측정하였다. 색도분석 결과, 5가지 청국장 모두 브라운 계열이었으며, a값(redness), b값(yellowness)은 5가지 청국장에서 모두 유의적인 차이를 나타냈다. 유리아미노산 분석 결과, 구수한 맛을 나타내는 Aspartic acid, Glutamic acid의 함량이 CKJ보다 한약재를 첨가한 청국장(CKJ-DD, CKJ-RG, CKJ-DD+RG, CKJ-RED)이 더 많은 함량을 나타났으며, 단맛을 나타내는 alanine, glycine, lysine 또한 CKJ에 비해 한약재를 첨가한 청국장(CKJ-DD, CKJ-RG, CKJ-DD+RG, CKJ-RED)이 3~4.5배 더 많은 함량을 나타냈다. 반면, 한약재의 고유한 향에 의해서 쓴맛을 나타내는 leucine은 CKJ에 비해 CKJ-DD, CKJ-RED이 2배의 함량을 더 나타냈다. 한편 혈당강하 조절 기전과 관련된 항당뇨 활성 결과에서는 농도 의존적으로 혈당상승억제효과가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지만, CKJ과 한약재를 첨가한 청국장(CKJ-DD, CKJ-RG, CKJ-DD+RG, CKJRED) CKJRED) 간의 큰 유의적인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또한 5종의 청국장의 기능성을 알아보기 위해, 총 피놀릭성분의 함량 분석 결과, CKJ에 비해 한약재를 첨가한 청국장(CKJDD, CKJ-RG, CKJ-DD+RG, CKJ-RED)의 총 피놀릭 함량이 유의적으로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냈다. 항산화 활성 (Peroxyl radical 소거능)을 측정한 결과, 10 μg/mL 농도에서 대조군인 CKJ과 비교하여 CKJ-DD은 비슷한 활성을 보였으나 CKJ-RG는 1.5배, CKJ-DD+RG은 3배 높은 항산화 활성을 나타냈다. 이상의 결과로 다양한 한방청국장 제품의 표준화 및 제품화를 위한 다양한 지표들을 확인 할 수 있었다.

Cheonggukjang is one of the traditional fermented soy-based foods in Korean diets. Studies in cell cultures, humans have revealed anti-hypertension, anti-stress, anticancer, antioxidant, immune enhancing effects. Angelica gigas, Rehmanniae radix, and Red ginseng are popular medicinal plants and widely used for oriental medicine. In this study a strategy had been developed to mobilize beneficial phenolics from Angelica gigas, Rehmanniae radix, and Red ginseng combined with fermented soy by Cheonggukjang fermentation for antioxidant and Type II diabetes management. The quality and functional characteristics of Chenggukjang fermented with Angelica gigas, Rehmanniae radix and Red ginseng. Cheonggukjang (CKJ), Angelica gigas Cheonggukjang (CKJ-DD), Rehmanniae radix Cheonggukjang (CKJ-RG), Angelica gigas and Rehmanniae radix Cheonggukjang (CKJ-DD+RG) and Red ginseng Cheonggukjang (CKJ-RED) were evaluated. The mobilized phenolic profile was evaluated for antioxidant activity and the potential to inhibit α-amylase linked to hyperglycaemia. This research has important implications for the development of functional soy-based-fermented foods enriched with Angelica gigas, Rehmanniae radix and Red ginseng phenolics for oxidative stress - induced diabetic complications. Furthermore, Hunter`s color values of 5 types cheonggukjang, lightness (L-values), redness (a-values) and yellowness (b-values) were evaluated. Free amino acid content of CKJ-RED (0.993 mg/gd. w.) showed higher than that of CKJ (0.205 mg/g-d.w.).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