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고랭지 재배된 녹두의 항산활활성 및 유리아미노산 등 기능성물질로 알려진 GABA함량이 품종 간 그리고 나물 이용시 어떤 차이가 있는지 살펴보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항산화활성 분석에서 `장안` 녹두의 활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나물의 활성이 종자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작물의 기능성 관련 지표로 이용되는 총페놀 함량을 분석한 결과 고랭지 재배 녹두의 종실에 함유된 총페놀 함량은 1,186-1,493 ㎍ g-1 범위를 보였고, 나물은 2,321-2,783 ㎍ g-1으로 분석되어 종실을 나물로 이용 시 총페놀 함량이 증가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종실의 아미노산 함량 분석 결과, 대부분의 품종에서 glutamic acid 함량이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특히 `소선` 녹두의 함량이 높았다. 이들 아미노산 함량은 녹두나물 제조 시 현저히 증가되는 경향을 보였다. Valine과 arginine의 함량이 700mg 100g(-1) 이상으로 가장 높은 함량을 보였다. 이러한 결과를 종합해 볼 때, 녹두는 독특한 기능성 식품으로서의 개발 가능성이 높아 금후 새로운 대체작물로의 활용 가능성이 높을 것으로 생각된다.
Abstract: This study was performed to investigate differences of antioxidant activity, the content of free amino acids including GABA(gama-amino butyric acid) among mungbean cultivars grown in Highland area (Jinbu) and to compare those between seeds and sprouts. In DPPH (diphenyl picrydrazyl) radical scavenging activity, `Jangan` mungbean activity was more higher than that of other cultivars. The content of total phenolic compounds of mungbean ranged from 1,186 to 1,493 ㎍/g in seed and 2,321 to 2,783 ㎍/g in sprout. Among amino acids of seeds, the content of glutamic acid was highest in `Soseon` mungbean, and contents of almost amino acids increased during sprouting of seeds. The content of GABA that are known as a material having high functional effects on human body was also analyzed. When the relatively high content of GABA was observed in seeds of almost mungbean grown in highland, and their contents rapidly increased after sprouting from seeds. As a result of this experiment, it is expected that mungbean will be developed to a good alternative crop having high value as functional food materials in highland area of Kore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