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18.224.30.9
18.224.30.9
close menu
}
KCI 등재
1910~2010, 한국 사회의 변화를 말한다 : 국교에서 교양으로: 한국의 사회변동과 유교
The Change of Korean Society, 1910~2010 : From State Religion to Humanities(Bildung): Confucianism and Korean Social Change during 1910~2010
이황직 ( Hwang Jik Yi )
사회 이론 38권 3-36(34pages)
UCI I410-ECN-0102-2012-330-001813416
* 발행 기관의 요청으로 이용이 불가한 자료입니다.

이 논문은 지난 백년간 종교사상 유례없는 몰락을 겪은 한국 유교에 대해 역사적으로 분석하고 이를 통해 현재 유교가 어떤 상태에 처해 있는지를 점검하기 위해 작성되었다. 이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이 논문은 크게 세가지 과제를 점검했다. 첫째, 한국 유교가 지난 백년간 몰락하게 된 과정을 역사적으로 검토하고, 현재 유교의 상황을 점검했다. 국권침탈 전까지 국교였던 유교는 일제 지배 과정에서 정치성을 박탈당한 채 위축되기 시작했고, 해방과 전쟁 그리고 급격한 산업화 과정을 겪으며 사회경제적으로 몰락했다. 현재 유교는 군소 종교로 몰락했고, 동시에 한국 사회의 부정적 습속의 근원으로 비판받고 있다. 현재 유교의 존재 양상을 분석하기 위해서는 기존의 종교와 습속 차원의 분석 대신 교양의 차원에서 분석하는 것이 적절하다. 둘째, 한국 유교의 쇠퇴 원인을 유교에 내재한 종교성의 차원에서 분석했다. 유교는 본래 내성외왕의 이중적 종교성을 가지고 있었는데, 일제강점기를 거치며 외왕의 차원이 봉쇄되면서 혈연과 가문 중심의 왜곡된 외왕의 길만을 걷게 되었다. 셋째, 한국 유교의 쇠퇴 원인이 백년 전 ``유교 주도 근대화 노선의 종언``에 있다는 전제하에 지난 백년 유교 행위자들이 국가와 사회와 맺는 관계를 분석했다. 국망과 더불어 유교인들은 국가와 사회의 당면 과제에 대한 주도성을 상실했다. 이를 보충하기 위해 유교인들은 과거 국가종교 시기의 향수에 젖어 국가와의 관계에서 정체성을 찾으려고 했다. 경쟁 종교들이 시민사회에서의 봉사와 실천을 통해 교세를 키웠던 것과 달리, 유교인들에게는 시민사회의 실천을 위한 의지와 실천이 부족했다. 이런 분석 과정을 통해 이 논문은 유교 부흥을 위해 한국 유교 스스로 유교 가치의 핵심을 새롭게 해석하는 근본에서의 개혁을 시도해야 한다고 주장한다. 공론장의 토론, 사회봉사단체 활동 등 비국가 비시장의 영역에서 유교인으로서 전적으로 헌신할 수 있는 새로운 인간상, 곧 시민으로서의 군자상을 정립할 때 비로소 유교는 부흥의 기회를 얻을 수 있을 것이다.

In recent years Confucian discourse has caused considerable controversy in Korean academic society. Most scholars regard it as a reactionary ideology for authoritative regime. On the contrary some regard it as a communitarian alternative plan to overcome modern social problems. But nobody questions the condition of Korean Confucianism at present. This thesis aims to explain the drastic fall of Korean Confucianism during late hundred years from the point of religious experiences. First, the chief cause of the decline of Korean Confucianism was immanent in Confucian concept of religion. Confucian should pursue the ideal of ``Inner Sage and Outer Sovereign(內聖外王)``, but Korean Confucian had been restricted on the way of ``outer sovereign`` throughout Japanese Occupation period. So the only way of social practice permitted to them was to serve their family(or clan) that Korean Confucian adapted themselves to familism. Second, the specific cause of the fall was in the Confucian way of relating to state and civil society. So Korean Confucian had been accustomed to the status of state religion in Chosun dynasty that they didn`t know to practice within civil society and were content with conservative adaptation under state protection. In conclusion, this thesis claims that Korean Confucian dreaming restoration should try to re-interpretate the spirit of Confucianism. Then they should establish new way of practice in civil society, eg., serving their community and participating in civic movement.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