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8.97.14.90
18.97.14.90
close menu
Accredited
베르그손의 생성의 존재론과 메를로 -퐁티의 살의 존재론
L`ontology du devenir chez Bergson et L`ontology de la chair chez Merleau-ponty
이소희 ( So Hee Lee )
철학연구 vol. 41 315-353(39pages)
UCI I410-ECN-0102-2012-100-001800611

우리는 베르그손의 『창조적 진화』에 나타난 생성의 존재론에 대한 고찰에서 출발하여 이에 대한 메를로-폼티의 비판을 검토한다. 이를 바탕으로 베르그손의 생성의 존재론과 메를로-폼티의 살의 존재론을 비교하면, 첫째, 이들은 ``생병의 약동(elan vital)``과 ``세계의 살(chair du monde)``이라는 존재 내부적인 원인을 통해 존재의 생성과 표현이 이루어지는 공통점을 지니고 있다. 둘째, 베르그손에게 존재의 생성은 잠재적인 것으로부터 현실적인 것의 현실화로 이루어지고, 메를로-폼티에게 존재의 표현은 보이는 것과 보이지 않는 것으로 존재가 이중화된다. 셋째, 베르그손과 메를로-폼티의 존재론에서 존재가 이렇게 생성되고 표현되는 이유는 ``차이``와 세계의 살을 통한 ``연루-(connivence)``가 존재의 생성과 표현을 이끌기 때문이다. 이로부터 베르그손과 메를로-폼티의 존재론은 존재의 일의성(univocite)에 바탕을 둔 내재적 존재론에 속한다는 결론을 이끌어낼 수 있다.

Nous avons notre point de depart dans l`ontologie du devenir chez Bergson en particulier dans L`evolution creatrice. Ensuite nous prenons en consideration la critique de Merleau-ponty a propos de l`ontologie bergsonnienne. Sur cette base, nous nous essayons a comparer l`ontologie du devenir chez Bergson avec celle de la chair chez Merleau-Ponty. Tout d`abord, elles ont commun la raison immanente a l`Etre comme elan vital de Bergson et comme chair du monde de Merelau-Ponty qui provoquent le devenir autant de l`expression de l`Etre. Deuxiemement, le devenir dans l`ontologie de Bergson s`actualise du virtuel a l`actuel. De mEme, l`expression de l`Etre dans l`ontologie de Merleau-Ponty se dedouble dans le visible et dans l`invisible. Car la difference dans l`ontologie de Bergson, ainsi que la connivence par l`intermediaire de la chair du monde dans l`ontologie de Merleau-Ponty donnent lieu au devenir et a l`expression de l`Etre. Nous sommes donc amenes a conclure que toutes les deux ontologies appartiennent a la mEme ontologie immanente fondee sur l`univocite de l`Etre.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