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216.73.216.182
216.73.216.182
close menu
KCI 후보
용산참사 현장의 교회: A. 덜레스의 교회 모형에서 본 교회의 자기이해
The Church Placing itself in the Yongsan Disaster: The Self-understanding of the Church in the light of Models of the Church of Avery Dulles
조현철 ( Hyun Chul Cho )
신학과 철학 17권 179-206(28pages)
UCI I410-ECN-0102-2012-210-001843888
* 발행 기관의 요청으로 이용이 불가한 자료입니다.

교회의 자기이해는 교회가 위치한 구체적 상황 속에서 이루어져야 하며, 시대 상황이 변함에 따라 계속되어야 할 과제다. 따라서 교회의 자기이해는 당시의 상황을 제대로 읽는 것이 중요하다. 2009년 초 일어난 용산참사는 신자유주의에 기초한 세계화된 자본주의 경제가 지배하는 한국 사회의 현주소를 요약해서 보여주는 사건이다. 참사 발생 이후, 사저와 수도자를 포합한 많은 그리스도인들아 현장에 참여하며 유족들을 도왔다. 이 글은 용산참사라는 구체적 상황 속에서 "제자들의 공동체", "사신(使臣)", "종"이라는 모형을 사용하여 교회의 차치이해를 쇄신하기 위한 성찰의 결과다. 이 성찰을 통해서 교회가 세상의 빛과 소금의 역할을 더욱 충실히 할 수 있는 계기가 마련될 수 있을 것이다.

The self-understanding of the church must be done within a concrete context in which the church is located. It is a task to be continued as its context varies. Therefore It is important to read the contemporary situation for the self-understanding of the church properly. The Yongsan Disaster, which took place in 2009, shows the present situation of Korea in which the globalized capitalist economy based on neoliberalism prevails in a summarized version. When it happened, many Christians including priests and the religious people were present in the place of the Disaster and supported the victims` families. This essay is an outcome of reflection to renew the self-understanding of the church, in the particular context of the Yongsan Disaster, with the church models of "community of disciples," "herald," and "servant." This reflection can be taken as a chance for the church to play in a more faithful way with regards to the role of the light and candle of the world.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