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통유물에 사용된 전통 색채에는 우리 민족 고유한 전통의식과 감성을 찾아 볼 수 있다. 역사의 흐름을 통해 전해 내려와 시대와 세대로 전유되는 한 국가의 전통 색은 그 국가의 역사와 전통 속의 뿌리깊은 정신과 사상이 녹아있으며, 이를 통해 미래의 전통색채를 예측해 볼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먼저 과거에서 현재까지 한국인의 의식 속에서 자리 잡고 있는 색채를 분석하고, 한국 전통색채에 녹아 있는 색채감성을 이해하고자 한다. 현대사회에서는 색채를 통해 시간과 장소에 대한 제한 없이 시각적 정보를 전달하고 전달 받을 수 있다. 또한 색채는 현대 문명의 발전과 함께 개인에게 있어서 점점 다양해지고 많은 부분에서 활용 되고 있다. 즉, 색채는 사회, 문화, 경제, 정치적 척도로써의 역할을 하며 우리의 생활 속 깊이 간여하여 색채에 대한 선호도를 형성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전통 색채를 사용하여 우리나라를 연상할 수 한국 색채 감성을 연구하고, 이를 바탕으로 브랜드 아이텐티티에 응용할 수 있도록 하고자 한다. 구매자의 입장에서 기술을 중심으로 한 제품이 아무리 부합 된다 하더라도 디자인이나 색채의 시각적 욕구가 충족되지 못하면 구매 의욕이 저하되므로 경쟁력을 잃게 된다. 따라서 국제 경쟁력을 지닌 상품의 개발에 있어 우선시되는 것은 우리나라를 상징하는 고유의 색채 문화 상품의 개발 전략을 수립하는 일이다. 그것은 제품이 지니는 속성과 소비계층의 색채수요를 동시에 감안한 색채디자인을 완성되도록 연구 개발되어야 한다.
A nation`s traditional color represents a nation`s traditional spirits and sensibility. The traditional color can give us a hint on what the future color would be as it has been formed generation by generation over centuries. In the era of sensibility, the concept of color can help a product`s image to reach consumers more promptly. Even information is being conveyed by stirring consumers` five senses in the industry in the obvious belief that a consumer`s momentary connection to a product can result in the final value judgment. In conclusion, this paper analyzes the physical color of ancient Korean to modern Korean and further attempts to reveal Korean`s so-called sensibility color. From the standpoint of the consumer, It is hard to satisfy with the product that dose not including visual design elements such as color. That would have negative consequences for both consumers and manufacturers. Therefore, in order to develop products with international competitiveness, it should certainly take precedence to establish a product development strategy that symbolize our country`s unique colorful culture over all other busines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