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8.97.14.81
18.97.14.81
close menu
Accredited
고등학생의 친구관계와 우울 간 자기회귀 교차지연 효과 검증
Testing the Autoregressive Cross-Lagged Effects between Friendships and Depression in high school students
추상엽 ( Sang Yup Choo ) , 임성문 ( Sung Moon Lim )
UCI I410-ECN-0102-2012-330-001887001

그동안 친구관계와 우울의 관계에 대한 대부분의 연구들은 경험적 연구의 근거 없이 연구자의 가정에 기초해 두 변인 간 인과적 방향을 설정하고 연구를 수행하였다는 제한점을 가지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종단자료를 사용하고 자기회귀 교차지연 모형(autoregressive cross-lagged model)을 적용하여 친구관계와 우울 간 관계에서 인과적 방향을 규명하고자 하였다. 그런데 최근 연구들에서 친구관계를 친밀한 정도에 따라 친한 친구관계와 학교 친구관계로 구분하고 있어, 두 유형의 친구관계와 우울 간 인과적 방향을 각각 알아보고자 하였다. 종단자료로는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에서 수집한 패널자료 중 고등학생 자료인 3차, 4차, 5차년도 자료를 이용하였다.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긍정적인 학교 친구관계는 우울에 부적인 영향을 미쳤지만, 우울은 학교친구관계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둘째, 긍정적인 친한 친구관계는 우울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지만, 우울은 긍정적인 친한 친구관계에 부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학교 친구관계는 우울의 원인변인으로, 친한 친구관계는 우울의 결과변인으로 직용함을 보여주는 것이며, 이는 고등학생의 우울 감소를 위한 개입시 긍정적인 학교 친구관계 증진에 초점을 맞추어야 함을 시사하는 것이다.

The majority of studies about the relationship between friendship and depression have been conducted based on casual relations assumed by researchers without empirical research. It comes to be a limitation to confirm the casual relations. Thu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longitudinal relationship between friendship and depression with the longitudinal data using autoregres ive cros -lagged modeling. Because in the recent studies friendship is divided into two forms of friendship by the extent of intimacy, friendships with friends in school and close friends, we investigated the longitudinal relationships between two forms of friendships and depression respectively. The longitudinal data was from third, fourth, and fifth wave of the Korean Adolescent Policy Research Institute. The result were as follows. First, it was revealed that the effects of friendships with friends in school on depression was significant, but the effects of depression on friendships with friends in school was not. Second, it was demonstrated that the effect of friendships with dose friends on depression was not significant, but the effect of depression on friendships with friends in school was. These results mean that friendships with friends in school is a predicting variable and friendships with dose friends is an outcome of depression, and imply that the intervention to reduce depression should be focused on positive friendships with friends in school.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