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2005년 영유아보육법의 전면 개정 이후 보육교사 2급 국가자격이 법령에 제시된 보육관련 교과목 중 일부를 이수하는 자에게 부여되는 개방형 체제로 전환됨에 따라, 현재 대학(교)을 통해 배출되는 보육교사가 6개 영역의 31개 교과목 중 영역별로 어떤 교과목을 이수하여 자격을 취득하는지에 대한 실태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은 2009년 2월 대학(교)을 졸업하고 보육교사 2급 자격증을 교부받은 대상자 25,009명 중 학제 및 학과에 따라 무선표집방식으로 할당표집한 1,761명이었으며, 연구대상의 성적증명서를 이용하여 이수 교과목 및 이수 학점을 조사하였다. 분석을 위하여 SPSS 16.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빈도분석 및 교차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31개 보육관련 교과목에서 일정 학점만을 선택적으로 이수하는 현 자격제도의 특성상 보육관련 교과목 영역별로 자격 취득자가 이수하는 교과목의 경향이 드러났으며, 조사대상의 학과 및 출신 학교의 학제에 따라 26개 교과목을 이수한 비율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current status of courses taken by certified child care teachers in their pre-service programs. To accomplish this purpose, transcripts of child care teachers who graduated from universities or colleges in the spring of 2009 were coded and analyzed anonymously. The results show that the courses taken by child care teachers varied according to majors and years of schooling. In particular, some child care teachers substituted different course titles for required courses. These findings illustrate that the courses child care teachers select are likely to depend on convenience in obtaining other certificates such as kindergarten teacher or social worker. Accordingly, we suggest that the standards to be certified as child care teachers should be raised to cover all the knowledge and skills that teachers should have regardless of their major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