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문화 교육과정을 설계하기 위해서는 다문화주의에 대한 이해가 선행되어야 한다. 이 연구는, 다문화주의에 대한 자유주의와 공동체주의 담론을 메타인지적 관점에서 분석하고, 한국에서 다문화 교육을 위해서는 다양성과 공동선의 가치를 융합한 담론이 필요함을 제안하였다. 아울러 유아의 발달특성을 반영하여 자유선택 능력의 개발, 공동체 의식의 기초형성, 문화적 감수성 및 다문화 이해의 기초함양, 창의력 향상 등을 교육목표로 설정하였고, 이와 관련하여 교육내용, 교수·학습방법, 평가방법 등 유아 다문화교육과정 설계방안에 대해 진술하였다.
In order to design a multicultural curriculum, above all, multiculturalism should be understood. This study is then to analyze the discourse of liberalism and community-oriented thoughts on multiculturalism from a meta-cognitive perspective and suggest for the multicultural education of young children in Korea that we need a new set of discourse in which diversity and community value are combined together. It is also to suggest that we need a new form of multicultural early childhood curriculum which will enhance the development of free-choice capability, the cultivation of community-consciousness, the learning of cultural diversity, and the creativity. In this context, multicultural curriculum design is to be discussed with regard to educational contents, teaching-learning methods, and evaluation metho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