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8.97.14.82
18.97.14.82
close menu
Candidate
유길준의 『서유견문』의 교육론 구상 전사(前史) -미국 유학을 중심으로-
The Prehistory of Educational Idea in Yu Kil-Chun`s Soyukyonmun -Focus on Study in U.S.A-
이은송 ( Eun Song Lee )
UCI I410-ECN-0102-2012-370-001864737

이 연구는 유길준의 미국 유학 이후의 교육론이 구상되는 전사(前史)를 추적하는데 중점을 두고, 보빙사의 기록과 미국 유학기의 인터뷰 자료, 『서유견문』의 서문 등에서 밝히고 있는 유길준의 `서양이해와 교육`을 추적하였다. 그 결과 다음 세 가지 논점을 고찰 할 수 있었다. 첫째, 유길준의 사회진화론적 경향이 E. S 모스로부터 영향 받았다는 기존 연구의 관점을 검토하기 위하여, E. S 모스의 진화론적 경향을 살펴본 바, 스펜서 이후 발전한 사회진화론적 경향보다는 생물학적 진화론에 기초한 적자생존, 우승열패의 생물학적 진화론이었음을 고찰하였다. 둘째, 유길준이 미국 유학을 하는 동안 후원자가 되었던 E. S 모스는 후쿠자와 유키치와 친밀한 인간관계를 유지하고 있는 학자로, 두 지식인은 일본이나 조선이 서구적인 방식으로 발전해가야 한다는 우승열패의 견해에 공감하고 있음을 고찰하고, 유길준이 그러한 사상적 경향에 영향을 받았음을 이해하였다. 셋째, 유길준의 미국 유학 이후에 쓴 『서유견문』에서 교육론이 어떠한 사상적 전개 위에서 성장하고 있는지 파악하기 위하여, 미국 유학중에 남긴 인터뷰 기사와 E. S 모스에게 보낸 편지 내용을 통하여, 미국의 시민사회를 경험한 그의 서양 이해가 최우선적 과제를 `교육 개혁`에 두고 있었음을 밝히었다. 특히, 상경상려라는 개념에 기초한 그의 교육사상이 사회진화론과 조선의 유학적 전통의 영향을 받고 있음을 제안하였다. 따라서 이 연구는 궁극적으로 그의 교육사상의 성격을 명확히 하는 후속 연구를 가능하게 하는데 일조 할 것으로 기대한다.

This research explores the significance of Yu Kil-Chun`s educationl idea after studying in U.S.A. This research makes three arguments. First, Previous works state that Yu Kil-Chun`s idea of social evolution was affected by E.S. Morse when Yu studied in America. I dispute this previous discourse by following arguments; Morse`s theory of evolution focused on biological aspects rather than social factors. Second, Morse maintained a close relationship with Fukuzawa Yukichi not only when he stayed in Japan as a foreign professor of the University of Tokyo but also after the returned to America. This close relationship was strengthened by their mutual belief that Japan must civilize herself in the Western way. Yu shared their belief with Morse and Fukuzawa. Third, Yu`s educational idea emphasized the significance of social discipline, which respected both competition and morality. His idea is controlled by himself within the theory of social evolution and traditional thought of Chosun.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