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8.97.14.84
18.97.14.84
close menu
Candidate
교사의 무언(無言)과 무은(無隱): 논어의 교수론적 해석
無言和無隱: 儒家敎授法的原理
지정민
UCI I410-ECN-0102-2012-370-001882446

논어에서 공자는 `말을 하지 않고자 한다`는 무언과 `숨기는 것이 없다`는 무은의 두 가지 표면상 대립적인 태도를 취하고 있다. 놀랍게도 성리학자들은 이 두 가지 태도를 상호보완적인 것으로 해석한다. 그에 따르면 무언은 교육내용에 대한 심각한 질문과 사색을 하도록 만드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무언에는 교사가 실지로 말을 하지 않는 것 이외에도 여러 다양한 형태가 있을 수 있다. 반면에 무은은 교사 자신이 획득한 천리를 학생에게 있는 그대로 드러내는 것으로서, 교육내용의 수준이 높거나 낮은 것과 무관하게 의의를 가진다. 무언과 무은 사이에는 면밀한 의존관계가 성립한다. 무은이 실현되기 위해서는 무언을 요청하며 무언은 무은을 그 목적으로 삼는다. 후대 성리학자들은 무언과 무은을 정밀하게 해석함으로써 유학적 교수법의 기본방향을 제시해 주지만, 여기에는 또한 현대적 재해석의 여지가 남아있다.

孔子的"無言"和"無隱"被認爲兩個相對立矛盾的槪念, 但從後代理性學者的註解上來看, 這無言和無隱之間的關系可以是"相發"又"大同小異"的。他們爲甚마解說타是相發而不是相互矛盾? 本考試圖從言語的限界問題的角度來解釋這個問題, 而主張無言和無隱的相發性就是儒家敎授法的基礎原理和目的。首先, 《論語》陽貨篇孔子與子貢的對話當中孔子曾經說過: "予欲無言"。孔子的這段話不是意味他忽視語言本身的功能, 而是爲了使弟子們更多地穿鑿、探究語言, 最後得到語言裏面的深奧意味。尤按著朱熹的註解, 無言是起發學生的疑問和思索的一種手段。如果老師通過充分的語言講解傳達某些敎育內容, 起發學生自己疑問和思索, 最後讓他們能達到語言裏面的眞正意義, 這却不違反孔子的無言敎授法。其實敎師的沈默、質問、講解等多種方式都可以形成無言的敎授法。性理學者的註解上來看, 空子的學生們的學問水平分爲三層; 子貢以下、子貢、子貢以上。他們主張只有子貢一個人適合於無言的敎授法。但從本考的觀點, 這三種水平應該是每個學生對不同的敎育內容形成的不同的認知狀態有關, 因而不關學生水平的差異存在 無言是對所有的學生、對所有的敎學內容都可以適用的敎授法。其次, 在《論語》述而篇中孔子親自說過: "吾無隱乎爾"。後代性理學者明確地說無隱的對象則是孔子獲得掌握的天道, 但他們的註釋上我們可以看到他們以爲無隱是爲了重視通過實踐躬行的敎育的一個槪念, 本考批判這種强調實踐躬行的解釋, 而主張無言與無隱一起構成了儒家敎授法的兩側面; 無言是儒家敎授法的基本原理, 無隱是儒家敎授法的最終目的。爲了達到天道 -爲了實現無隱- 敎師要依據無言的敎授方法。雖然這種敎授法沒有給敎師提供具體的敎授方法, 但同時使我們探入認識老師的敎授活動。關於無言和無隱, 因爲過去性理學者的註解中有不同的說法, 一般只能擇善而從。本考主張無言和無隱是克復言語的限界, 而獲得儒家敎育的理想的一種作法或者唯一方便。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