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존 한국 최고(最高) 영화인 <청춘의 십자로>는 무성영화로서는 특이하게 화면상에 중간해설 자막이 등장하지 않는다. 따라서 본고에서는 <청춘의 십자로>를 토키연행을 위해 제작된, 무성영화와 유성영화의 과도기적 영화로 보고자 한다. 현존하는 무성영화의 시나리오를 살펴보면 거의 예외없이 시나리오 상에 중간해설 자막이 등장한다는 점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중간해설자막이 등장하지 않는 <청춘의 십자로>를 일반적인 의미의 무성영화로 보기는 힘들다고 할 수 있다. 현존 무성영화의 시나리오들을 분석해 보면 콘디의 형태를 띤 작품들이 많다는 사실을 알 수 있다. 이러한 특징들은 일반적으로 시나리오 작가들이 감독을 겸했다는 사실과도 연관되며 무성영화 시절의 시나리오는 영화촬영을 위한 콘디의 역할까지 겸했기 때문으로 보인다. <검사와 여선생>은 14년이나 앞서 제작된 <청춘의 십자로>에 비해 촬영기법이나 미학적인 측면에서 상대적으로 떨어진다. <청춘의 십자로>의 이러한 미학적 특징은 이 영화가 영상자체로 관객들의 관심을 끌기보다는 변사의 연행을 통해 훙행몰이를 하기 위해 의도적으로 제작된 무성영화라는 데서 그 이유를 찾을 수 있다. 이와 달리 <청춘의 십자로>가 보여주고 있는 역동적이고 화려한 영상미학은 이 영화가 변사의 해설에 의존했던 순수한 의미의 무성영화가 아닐 개연성을 한층 높여주는 지점이다.
The oldest korea films existing a cross of youth(Chungchoon ui shipjaaroh) is not seen an insert title in spite of the silent films. Base on the study, this paper claim cross of youth(Churzgchoorz ui shipjaaroh) is in a state of transitional between sound films and silent films. All the scenario of silent fiims existing appeared on insert title. scenario of silent films existing is write title that is dialogue and tableau or the main scene change. So cross of youth(Chungchoon ui shipjaaroh)is hard to conclude silent films. scenario of silent films have many on characterizes a continuity. Generally speaking, It combines a movie director and a scenario writer. prosecutor aricZ womens teacher(geomsa uu yeoseonsaerzg) is behind the aesthetics of filming compared to cross of youth(Chungchoorz ui shipjaaroh,). this is moviemaking in 14 years ago to prosecutor arid womens teacher(geomsa an yeoseonsaeng,). Because prosecutor and womens teacher(geomsa an yeoseonsaeng) is making for a film interpreter. In contrast, cross of youth(Chungchoon ui shipjcvroh) is likely not a dear silent film that is depend on the interpreter. In conclusion, level of korea films art is not make gradual progress, that is depends on the facts of a movie director capacit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