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216.73.216.29
216.73.216.29
close menu
KCI 후보
산,염기 적정에서 용액의 부피 변화에 대한 대학생들의 오개념 연구
College Students` Misconception about the Volume Change of Solution during Acid/Base Titration: Partial Molar Volume of Salt
장낙한 ( Nak Han Jang )
UCI I410-ECN-0102-2012-400-001581361
이 자료는 4페이지 이하의 자료입니다.

부피 측정법을 이용하여 산·염기 적정 실험에서 중화점을 측정할 때, 나는 용액의 부피 변화에 대한 한국 대학생들의 개념을 조사하였다. 이 연구에 의하면, 대부분의 대학생들은 산·염기 적정 동안 중화반응에 의해 물이 생성되기 때문에 부피가 증가한다는 오개념을 갖고 있었다. 그러나 이것은 용액에 있는 염에 의한 효과를 무시한 것이기 때문에, 부피 변화를 설명하는데 충분하지 않다. HCl/NaOH 중화반응 동안 용액의 부피 증가를 설명하기 위해, 나는 생성된 NaCl의 부분 몰부피를 계산하였다. 실험 결과와 계산된 부분 몰부피를 비교할 때, 나는 부피 증가의 주요 효과는 HCl/NaOH 중화반응 동안 생성된 NaCl의 부분 몰부피 때문이라는 것을 밝혔다. 여기서 산·염기 중화 적정 동안 용액의 부피 변화에 대한 오개념을 줄이기 위해, 나는 부분 몰부피의 개념을 대학생들에게 도입하도록 제안한다.

I investigated Korean college students` conception about the volume change of solution when they detected the equivalence point during acid/base titration experiment using method of volume measurement. According to this study, most college students had a misconception that the volume increment was due to the formation of water by neutralization during acid/base titration. However, this is not enough to explain the volume change, neglecting contribution of a salt in solution. I calculated the partial molar volume of NaCl formed to explain the volume increment of solution during HCl/NaOH neutralization. Comparing the result of experiment with the calculation of partial molar volume, I elucidated that the main effect of volume increment was due to the partial molar volume of NaCl formed during HCl/NaOH neutralization. Here I propose to introduce college students to the concept of partial molar volume of the salt formed to reduce misconception about the volume change of solution during acid/base neutralization.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