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18.191.8.183
18.191.8.183
close menu
}
KCI 등재
어머니와 교사가 인식한 초등학생의 학습강점에 관한 탐색 연구
Exploratory Study on the Learning Strengths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Recognized by Mothers and Teachers
이소희 ( So Hee Lee ) , 신춘희 ( Chun Hee Shin ) , 박영례 ( Young Lye Park )
UCI I410-ECN-0102-2012-590-001876955
* 발행 기관의 요청으로 이용이 불가한 자료입니다.

본 연구는 초등학생이 집이나 학교에서의 학습상황에서 높은 성취를 이루도록 이끄는 좋은 특성을 학습강점으로 정의하고, 초등학생의 학습강점에 관한 어머니와 교사의 인식을 비교한 다음, 이를 기반으로 학습강점을 계발시킬 수 있는 방안에 관한 탐색적 수준의 조사연구이다. 이를 위해 서울, 경기, 대전 지역의 초등학생 자녀를 둔 어머니 409명과 초등학교 교사 257명으로 총 666명을 연구대상으로, 연구자가 개발하고 전문가에 의해 내용타당성이 확보된 개방형 질문지를 우편 및 직접 방문을 통한 방식으로 실시하였다. 회수된 자료는 내용분석을 통해 유사한 강점특성과 계발방안을 유목화 한 다음, 빈도 분석을 통해 정리하였다. 연구결과, 현재 선행연구에서 개념화하고 있는 학습강점 개념에 인식이 낮을 뿐 아니라, 어머니와 교사의 인식 사이에서도 차이가 나타났다. 이러한 차이는 가정과 학교에서 이루어지는 학습상황과 목적의 차이에서 비롯된다고 볼 수 있다. 그러나 학습에서의 성취과정에 관계되는 정의적 특성들은 `학습`될 수 있다고 볼 때, 학업성취에 대한 압박이 시작되는 초등학생을 둔 어머니와 교사는 학습강점에 대한 인식을 공유할 필요가 크다. 이를 위해 긍정심리학을 바탕으로 강점을 상위 개념으로 한 학습강점의 세부 영역 연구와 그 계발에 대한 더욱 체계적인 연구가 필요하다. 본 연구는 높은 교육열에 따른 아동과 가족의 역기능을 경감시킬 수 있도록 패러다임을 전환하고 그 기초자료를 제공했다는 측면에서 예방가족복지실천적 의의를 지닌다.

This is an exploratory study that seeks to identify those characteristics that promote positive academic performance in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 a learning environment, such as at home or at school, and define them as learning strengths. The study focuses on developing strategies for inculcating these learning strengths and promoting their recognition among mothers and teachers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 order to achieve these objectives, open-ended questionnaires were developed by researchers and verified by experts and were distributed to a total of 666 respondents--409 mothers of elementary school children and 257 elementary school teachers in Seoul, Kyunggi Province and Daejeon. The collected data have been categorized by similar strength characteristics and development plans and organized by frequent analysis. According to analysis of the results, mothers and teachers have little recognition of learning strengths as conceptualized in precedent studies. Furthermore, they have differing points of view on learning strengths. Such differences may derive from the differences in learning environments and in learning objectives between home and school. However, because characteristics contributing to positive academic performance can be learned, it is imperative that both mothers of elementary school children and their children`s teachers recognize learning strengths. To accomplish this, detailed studies of learning strengths should be conducted, in which learning strengths is conceptualized as a superordinate concept based upon positive psychology, as well as more systematic studies on strength development. From a preventative and practical family welfare point of view, this study focuses on influencing paradigm change and providing fundamental data for reducing dysfunction in children and their families stemming from excessive pressure on academic performance.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