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216.73.216.182
216.73.216.182
close menu
한국 정당정치의 위기와 과제 ; "개별 정당의 위기"분석을 위한 이론적 모색: 리더십과 "유인정치(the politics of incentive)"의 문제를 중심으로
A Theoretical Observation for Analysis of "Individual Party Crisis": The problem of the Leadership and "the politics of incentive" in focused
김윤철 ( Yun Cheol Kim )
기억과 전망 20권 6-39(34pages)
UCI I410-ECN-0102-2012-340-001482004
* 발행 기관의 요청으로 무료로 이용 가능한 자료입니다.

이 논문은 개별 정당의 위기 문제를 다룬다. 이 연구가 주요하게 제시하는 바는 다음과 같다. 첫째, 개별 정당의 위기는 집합적 정체성의 창출과 보전의 실패, 유권자 지지의 약화와 득표율의 하락과 선거 패배, 대안적 조직체의 등장, 내부 갈등 통제의 실패와 같은 서로 연관된 현상을 가리킨다. 둘째, 개별 정당의 위기는 무엇보다도 환경적응 능력의 결핍에 따른 것이다. 셋째, 환경적응을 위한 노선 전환의 능력에 있어 중요한 것은 리더십이다. 넷째, 노선 전환을 위한 리더십에 있어 중요한 것은 유인의 정치이다. 즉 노선 전환에 성공하기 위한 리더십을 발휘하기 위해서 정당 지도자들은 유인 제공의 문제를 해결해야 한다.

This article looks about problem of individual party crisis. At this time, this article principally suggests that the like next fourth argument. The first, Individual party crisis means that phenomena are weakening of creation and preservation of collective identity, weakening of support of the electorate, decrease of vote-getting, election defeat(especially crucial the election), challenge of alternative organization, failure of control of intra conflict. The second, more than anything else, individual party crisis attributes to shortage of adaptability of change of external environments. The third, the leadership is the most important to adaptation to change of external environmens. The fourth, the politics of incentive is significant in the leadership. That is, Party leaders have to solve the problem of provide of incentives to the members of party.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