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유럽과 오세아니아의 선진국형 기능성 축산물 및 식육제품의 운영현황 및 관리방안을 연구·분석함으로서 국내 실정에 부합되는 규격기준 표준화와 관리방안 및 제도를 마련하는데 있어서 기초 자료를 제시하는데 있다. 우리나라를 비롯하여 전 세계적으로 국제경쟁력 강화 차원 등의 여러 여건 변화로 식품의 3차적 기능이 점차 강조되고 있다. 따라서 우리나라 자체적으로 기능성 축산물에 대한 정확한 정의와 범위를 확립하는 것이 시급하다. 식품에 기능성 표시를 허용하는 것은 이미 국제적인 대세이다. 유럽과 오세아니아에서도 별도의 기능성 축산물에 관한 법률이나 관리제도가 없으나 식품의 기능성 강화 측면에서 영양표시기준(nutrition claims)과 건강표시기준(health claims)을 통해 식품을 관리하고 있다. 강화 영양소에 대한 표시기준은 일부에 국한되어 있어 이들 기준을 사용하여 국내의 기능성 축산물 및 식육가공품에 적용할 경우, 기능성 지표물질 및 허용량의 설정이 반드시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보이며, EU와 호주·뉴질랜드에서 운영하는 제도 이외의 다른 선진국의 사례를 바탕으로 기능성 축산물에 대한 표준화가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보인다. 또한 기능성 축산물 및 식육제품의 표시를 확립하기 위해서는 현재 시중에 유통되고 있는 제품에 사용되는 기능성 소재 조사 및 각 기능성 소재가 인체에 유해한지 안전성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며, 이들 소재의 적정 사용범위 설정을 위한 data base를 확립하기 위해 많은 실험적인 연구가 요구된다.
It has recently been considered urgent to establish an accurate definition and scope of functional foods in the livestock industry in Korea. The tertiary function of food is gradually emphasized with various changes in conditions such as international competitive power enhancement of the whole world, including Korea.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gather basic information toward the establishment of standardization, management plans, and a system adapted to the Korean state through researching management systems of functional meat and meat products in the European Union (EU) and the Oceania Area (OA). A brief summary of this study is as follows. In the EU and OA, special management systems and laws about functional livestock and products were once nonexistent; only `nutrition claims` and `health claims` operated in the nutritional consolidation side of foods. Also, it was once thought that functional index materials and permissions established in the application of functional products sufficed, because management standards for enriched food were not established. Therefore, standardization of functional live stock products needs to be considered based on the case of developed countries in the EU and OA. It also seems that the above functional indicative substances can be applied, based on normal standards of indicative substances of functional products and the normal standards of indicators of functional substances added to livestock products presented in this stud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