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8.97.9.171
18.97.9.171
close menu
Accredited
두 탈무드 탄생의 정치,종교적 환경
The Politico-Religious Environment Surrounding the Two Talmuds
서정민 ( Jeong Min Seo )
중동연구 vol. 28 iss. 3 197-220(24pages)
UCI I410-ECN-0102-2012-910-001873409

이 논문은 유대교와 이스라엘의 경전 중 하나인 탈무드의 등장 배경과 과정을 설명한다. 탈무드는 팔레스타인과 바빌론 지역에서 각각 집대성된 예루살렘 탈무드와 바빌론 탈무드로 나뉜다. 바빌론 탈무드는 예루살렘 탈무드에 비해 보다 광범위하고 동시에 보다 잘 다듬어진 것으로 평가되고 있다. 결과적으로 많은 학자와 유대인들은 바빌론 탈무드에 대해 공부하고 집중적으로 연구하고 있다. 역사적으로 두 개의 탈무드가 어떻게 형성되었고 왜 유대교는 바빌론 탈무드의 권위를 보다 더 인정하고 있을까? 이 질문에 대한 답을 찾기 위해 본 연구는 두 탈무드가 형성된 역사적 과정을 살펴보았다. 특히 경전의 권위를 뒷받침하는 정치·종교적 요인을 집중적으로 분석하면서 두 탈무드의 등장과 발전 그리고 권위 형성과정을 분석하였다. 두 탈무드의 문체적 그리고 권위적 차이는 크게 세 가지 요인으로 설명될 수 있다. 첫째, 바빌론 탈무드가 예루살렘 탈무드에 비해 역사적으로 보다 늦게 집대성되었다는 점에서 보다 긴 시간적 여유를 가지고 수정 및 편집될 수 있었다. 바빌론 지역에 거주하는 성직자와 학자들은 예루살렘 탈무드를 접하면서 보다 포괄적으로 그리고 문학적으로 보완할 수 있었다. 둘째, 팔레스타인보다 안정적인 바빌론 지역의 정치적 상황이 종교와 이념을 더욱 발전시킬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하였다. 팔레스타인 거주 유대인들이 로마제국의 지속적인 박해와 탄압을 받으면서 폭동을 일으키던 반면 페르시아 제국의 통치 하에서 바빌론 유대인들은 상대적으로 평화롭고 안정적인 공동체를 유지할 수 있었다. 마지막으로 양 지역의 정치·종교적 환경도 상당히 달랐다. 팔레스타인 지역에서는 로마제국이 기독교를 국교로 받아들이면서 유대인들은 소수종파로 전락했고 여러 사안에 있어서 로마 당국과 종교 및 이념적으로 충돌했다. 결과적으로 탈무드에 대한 편집은 상당히 시급히 그리고 불완전한 상태로 이루어졌다. 반면 바빌론 지역에서도 조로아스터교와 기독교가 도입되었지만 페르시아 당국은 종교적 차별정책을 취하지 않았다. 종교 및 이념적 갈등이 심각하지 않은 상황에서 바빌론 지역의 랍비와 학자들은 보다 차분하고 안정된 분위기에서 탈무드의 편집을 마칠 수 있었다.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