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산물 시장개방 확대와 소비지 위주의 유통환경 변화 등에 따른 농업여건이 급격하게 변하고 있다. 또한 1990년대 중반 이후 시작된 유통시장의 자유화로 인해 소매점의 규모화ㆍ체인화가 진전되고 있다. 이러한 소매점의 규모화 체인화현상은 소비지의 유통환경 변화의 중심으로 자리 잡게 되었다. 농산물 시장개방 확대와 소비지 위주의 유통환경 변화 등에 따른 농업여건이 급격하게 변하고 있다. 또한 1990년대 중반 이후 시작된 유통시장의 자유화로 인해 소매점의 규모화ㆍ체인화가 진전되고 있다. 이러한 소매점의 규모화 체인화현상은 소비지의 유통환경 변화의 중심으로 자리 잡게 되었다. 이러한 여건변화에 대응하기 위하여 소규모 경영체인 개별농가가 전문화, 대규모화 되어가고 있고 품목별 지역적으로 특화되어 가는 양상을 보이고 있지만 경쟁력을 가지고 대응해 나가기에는 한계성을 가지고 있는 것이 사실이다. 개별조직체는 전문성과 규모화를 향상시키기 위하여 작목반, 영농조합법인, 연합사업단등 농가 생산자들을 중심으로 조직화하여 시장교섭력 확보, 생산비용절감 등을 위하여 노력하고 있다. 소비지의 다양한 요구와 소비지의 정보를 신속하게 전달하고 생산에 반영하도록 하여 생산자들이 소비지의 여건변화에 적극적 주체적으로 대응해 나갈 수 있도록 자생력과 경쟁력을 제고 하는 것이 산지에 주어진 시급한 과제이며, 이러한 유통 환경변화에 대한 대응측면에서 추진하고 있는 산지의 조직화 과정에서 다양한 문제가 발생하고 있다. 이러한 문제점의 가장 대표적인 경우가 효율적인 조직화문제이다. 소비지에 대해 대응력을 갖춘다는 목적에서 추진한 규모화로 인해 조직력이 약화되어 어렵게 성공한 산지의 규모화가 수년이내에 와해되어 버린다거나, 우수농가 중심으로 생산자조직에서 이탈하여 버리는 등 다양한 문제점을 노출시키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도매시장유통주체의 구매행동 특성과, 우수산지조직체의 사례분석, 산지조직화를 저해하는 요인분석을 휘한 설문 조사를 통해 효율적인 산지조직화를 위한 방안을 마련하고, 이에 대응력을 갖추기 위한 조직화 방안에 대한 구체적인 분석을 하고자 한다. 첫째, 기능조직으로서의 농가조직을 강화하기 위해서는 작목반과 같이, 공통의 목적을 가진 농가조직을 활성화 시켜야한다. 이는 서두에서도 말했듯이 단순 수적확대의 규모화는 오히려 조직력을 극대화 하는데 한계로 다가올수 있다. 둘째, 조직화 효과의 경험적 학습을 위해 농가 간 다양한 정보교환의 촉진과 협동의 효과등을 살려내는 것이 중요하며, 지역 내 강력한리더 양성을 위해서라도 다양하고 새로운 교육 및 영농지도가 필요하다. 셋째, 소비지의 경쟁이 심화되고, 차별화 상품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음에 따라, 앞으로의 산지 조직화는 차별화효과를 극대화하고 동시에 규모화 효과도 발휘할 수 있는 농가조 직화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넷째, 품목별 특성을 고려한 즉, 상품 및 출하의 특성을 고려하여 과일의 경우에는 주산지를 중심으로 한 APC 중심의 사업을 전개하고, 선도가 중요시 되는 과채류의 경우에는 지역에 분산된 소규모 APC를 중심으로 마케팅 기능을 조직적으로 활성화 시키는 방향으로 조직화 및 유통사업이 진행되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마지막으로는, 도매시장 이용율을 제고할 필요가 있다. 대형유통업체는 도매시장 가격을 중심으로 출하가격을 조절한다는 측면에서 가격관리를 위해서라도 도매시장에 대한 출하에 적극적인 노력이 필요하다.